흙 (데이비드 몽고메리 지음, 이수영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땅이 미래다. 산업화 이전 시대 상당기간 동안 도시 쓰레기는 무엇보다 유기질이었고, 도시와 준도시 농장에 되돌려져서 흙을 기름지게 했다. 산업화 이후 도시농업은 빠른 속도로 성장해 왔다. 전 세계에서 8억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러저러하게 도시농업에 종사한다. 세계은행과 유럽식량 농업기구.. 미래를 위하여2 작물재배를 개선하기 위해 품종개량과 작물재배 연구에 상당한 투자를 했지만, 우리는 기껏해야 쌀 생산량이 더 줄지 않도록 유지했을 뿐이다. 다가오는 미래에는 한해 생산량이 1% 넘게 늘어야만 밀, 쌀, 옥수수의 예상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까지도 식량생산을 늘릴.. 미래를 위하여 1 화석연료가 고갈되면, 식량생산의 급격한 감소를 막기 위해 근본적으로 농업을 재편성해서 흙의 비옥함을 유지하거나 또는 화학비료에 계속 의지하고자 한다면, 값싼 에너지의 새로운 원천을 대규모로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흙 자체를 꾸준히 침식한다면 앞날은 뻔하다. 지구가.. 서로 다른 길을 간 섬들의 운명 1722년 부활절 일요일 어느 네덜란드 제독이 인도네시아와 스파이스 제도로 가다가 태평양 먼 바다에서 작은 화산섬을 발견했다. 그러나 그 뒤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이 이스터 섬은 반세기 뒤에 에스파냐에 합병되기까지 외로운 섬으로 남아 있었다. 이스터 섬에는 거대한 석상들이 섬 .. 인류의 미래, 흙 개발도상국에서는 가장 좋은 땅을 수출작물이 독차지했는데, 이는 점점 늘어나는 인구를 먹이기 위해 불모지를 갈수록 집약적으로 경작을 해야했다. 새로운 고수확 품종 덕택에 1960대에 수확량은 눈에 띄게 늘었지만, 더 많이 거두기 위해서는 비료와 살충제를 더 집중적으로 써야했다. .. 화학비료와 석유의 딜레마 1 땅을 간다는 것은 작물을 심기위해 땅을 파헤치는 일이다. 잡초는 뿌리 뽑히고 작물은 더 잘 자라날수 있을 것이다. 작물의 생장을 돕는다고 해도 땅을 갈면 땅은 헐벗고, 빗방울의 충격을 흡수하고, 침식을 막아주던 식물군락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된다. 농부들은 땅을 갈아서 더 많은 .. 농기계와 흙의 침식 흙이 천천히 사라지기 때문에 농부들이 그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바라보기 어렵다. 게다가 기계화는 돈이 들기 때문에 든 돈만큼 뽑아내어야 한다. 군데군데 아니 모든 곳이라고 해도 조금씩 사라지는 건 모른체 해도 될만큼 흙의 값은 싸다. 드넓은 평원 트랙터를 쓰기에 이상적이다. 1900년 무럽 기관차 같은 트랙터가 처음 쓰였다. 1917년 무렵에 몇 백군데 회사에서 작고 실용적인 기종을 만들었다. 이 놀라운 기계들로 무장한 농부들은 소나 말 뒤를 따라 걸을 때 하고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넓은 땅에서 농사를 지을 수 있었다. 토착의 식생이 변함없이 자리잡고, 버팔로 떼가 풀을 뜯고, 똥거름을 줄 때는 생기가 넘쳤지만, 경작지가 들어서고 오랜 가뭄에 말라버린 대초원은 부서졌다. 흙을 얽어맬 풀과 그 뿌리가 사라.. 신대륙과 플랜테이션 숲이 베어지면서 흙은 사라졌고, 사람들은 밀림 더 깊은 곳으로 들어가서 새땅을 개간한 것이다. 숲언저리에서 몇 킬로미터 들어가니 농가와 작은 마을은 사라지고 소를 키운는 목장이 나왔다. 자급농들이 숲속으로 깊이 들어가면서 버려진 농장들은 목장주들이 차지했다. 너무 척박해서 작물을 기를 수 없는 땅이지만, 암소들이 풀은 뜯을 수 있었다. 하지만 암소들을 먹이려면 넓은 땅이 있어야 한다. 수많은 소떼가 풀을 뜯으면 숲은 되살아나지 못하고 침식이 심해진다. 그러면 마을들은 새땅을 찾아서 끝도 없이 밀림속으로 더 깊이 들어간다. 산림개간, 농사, 소의 방목이라는 오늘날의 사이클은 겉흙을 벗겨내고 비옥함을 되살리는 흙의 생명력을 거의 앗아갔다. 그 땅에서는 사람들이 거의 살 수 없게 되었다. 생산적인 땅이 사라지..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