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신의 감정이 당신에게 말하는 것(

(11)
행복 행복한 일에 울음을 터뜨리는 이유는 감정을 마음 편히 표출할 수 있을 때까지 무의식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이라는 이론도 있다. 이를테면 아주 슬픈 영화를 볼 때 슬픈 장면에서는 애써 눈물을 참다가, 행복한 결말을 보고 울음을 터뜨린다는 것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행복한 결말에서는 더 이상 슬픔을 억제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느낄수 있으므로, 슬픔을 억누르는데 사용하던 에너지가 터져 나오면서 눈물로 표현된다는 것이다. 들뜸, 반가움, 안도, 기쁨, 황홀감, 재미 등 행복과 관련된 감정은 매우 다양하다. 행복의 감정들이 주는 느낌은 각각 다르지만, 모두 미소라는 표정으로 나타난다. 행복의 감정은 강도와 성질은 각기 달라도 순간적으로 기쁨이 밀려드는 경험을 주며, 여느 감정이 그렇듯 우리의 행동을 유도한다. 기분..
부러움, 흥미 부러움 부러움은 다른 사람의 소유물, 능력, 성과가 우리를 초라하게 만든다고 생각될 때 느끼는 감정이다. 즉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자신을 평가한 결과,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 부러움이 생긴다. 그래서 부러움은 불쾌한 감정에 부러움을 누그러뜨리고자 우리는 다른 사람을 깍아내리거나 자신을 치켜세운다. 부러움은 종종 질투와 혼돈된다. 다른 사람이 지닌 특징, 성공, 소유물을 손에 넣고 싶을때 느끼는 부러움과 달리 질투는 다른 사람이 주는 애정이나 안정감을 제삼자에게 빼앗길 위험이 있거나, 이미 빼앗겼을 때 생긴다. 질투는 감정에 해당하지 않는다. 하지만 소중한 사람과의 관계가 위협받고 있으니 방어하라는 경고의 표시로 부러움, 불안, 분노 등 강렬한 감정을 일으킨다. 부러울 때 우리는 다른 사람이 지닌 것..
분노, 혐오감 분노는 고마운 감정이다. 분노는 목표가 좌절되거나 누군가 사회규범을 위반했을 때, 또는 잘못된 상황을 바로 잡아야 할 때에 부당한 일이 일어났으니 당장 반응하라고 우리를 일깨운다. 때로는 고통의 원인과 관계없이 고통 그 자체만으로 분노가 생기기도 한다. 분노가 주는 느낌과 생각에 사로 잡히면 이를 통제하거나 적절히 표현하지 못할 수 있다. 분노가 폭발하면 교감신경계는 신체를 흥분시키고, 근육긴장을 일으키며 당장이라도 행동할 태세를 갖추게 하는 등 우리를 각성상태로 만든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분노를 일으키는 대상에 맞서 싸우기 위해서이다. 누군가 화를 돋을 때는 공격적으로 대응할 태세를 갖추었음을 상대에 보여줘야 하기 때문이다. 분노는 자신을 지키기 위한 감정이므로 분노를 느낄 때, 우리는 위..
희망과 슬픔 희망 소망, 낙관과 비슷한 감정인 희망은 바라는 대상이나 목표, 미래의 상황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감을 준다. 미래에 대한 기대는 우리의 정신상태에 영향을 미치며, 현재의 행동과 감정도 바꾸어 놓는다. 희망이 감정에 해당되는지 아니면, 장기적인 감정상태를 불러 일으키는 생각인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나뉜다. 희망을 감정으로 보는 근거로 원하는 결과에 집중하면서 상황을 바꾸기 위한 노력을 유도한다는 점, 판단과 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게 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희망은 무언가 긍정적인 일이 생기기를 원하고 바라는 상태를 뜻한다. 희망은 낙관주의와 유사하며, 이 두 개념은 서로 구분없이 쓸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희망에는 구체적인 대상과 원하는 결과가 있지만 낙..
외로움 외로울 때 우리는 모든 감정에 목적이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기 어렵다. 고통스럽기만 외로움에 대체 어떤 목적이 있다는 걸까? 외로움은 어딘가 소속되지 못했음을 경고한다. 특정한 감정을 경험할 때 어떤 행동을 취할지는 각자에게 달려있지만, 외로움은 그 상태를 벗어나는데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우리를 자극한다. 외로움은 슬픔, 무기력, 삶에 대한 의욕상실 등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과 혼동될 때가 있다. 사랑하는 이성 친구가 있어도, 친척이나 친구가 아무리 많아도 여전히 외로울 수 있다. 친밀감을 나누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다고 느끼는 순간 우리는 외로움에 휩싸인다. 감정은 대개 특정 사건이나 자극을 계기로 생기는데 외로움은 의미있는 관계가 끝나거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만족을 얻지 못할 때,..
죄책감과 자부심 죄책감 죄책감은 의도 했든 아니든 나의 행동이 다른 사람의 신체나 감정에 성처를 주었을 때 느끼는, 아주 꺼림칙한 사회적, 자의식적 감정이다. 죄책감은 잘못을 개선하고자 취하는 조치나 행동과 관계가 있다. 실수를 바로잡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노력해야만 죄책감이 주는 감정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죄책감은 사회유대나 인간관계에 해가 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죄책감을 느낄때 하는 행동은 개인의 성향이나 기질에 따라 다르다. 옳은 일에 집착하는 사람이나, 올바른 행동 기준을 무시하는 사람이나, 죄책감을 다루기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자기 존재 자체를 부정적으로 느끼는 수치심과 달리 죄책감은 잘못된 행동에 초점을 둔다. 죄책감은 우리가 다른 사람을 아프게 했다는 사실을 깨우쳐 주..
창피함, 수치심 창피함 우리를 언짢게 만드는 창피함이라는 감정에도 과연 유익한 점이 있을까? 우리는 창피할때 다른 사람에게 잘못을 깨닫고 후회하고 있으며, 다음번에는 더 잘하겠다는 뜻을 전달한다. 따라서 창피함은 사회 질서유지에 기여한다. 창피함을 우리에게 어떤 사회기준에 따라 행동하지 못했음을 깨우쳐 준다. 창피함은 죄책감, 수치심, 자부심과 더불어 자의식적인 감정에 속한다. 창피함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생기는 감정이므로 감추고 싶은 모습이 폭로되는 느낌, 어색하고 불편한 느낌, 실수든 의도든 잘못된 행동을 한데 대한 후회의 느낌을 준다. 창피함은 낯선 사회적 상황에서 느끼는 강한 불안감인 사회불안과 관계가 있다. 부정적인 평가를 두려워하고, 시선을 피하는 등 창피함과 사회불안은 비슷하게 표현된다. 청피할 때 우리..
두려움 두려움이 생기면 우리는 겁을 먹는다. 이는 우리를 해칠만한 위험이 닥쳤으니 당장 자신을 보호하라는 경고다. 진화과정에서 두려움은 포식자 등의 위협적인 존재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니 위험한 상황에서 두려움을 느끼는 건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다. 두려움이라는 감정 덕분에 인간은 험난한 환경에 적응하며 지금까지 살아남을수 있을 테니 말이다. 두려움은 생존뿐 아니라 의사결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투쟁-도피 반응이란 동물들이 위협을 받을 때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행동을 말한다. 동물들은 위험이 닥치면, 같은 자리에 머물러 싸우거나 위험을 피해 달아난다. 하지만 동물이나 인간이 위협을 느낄 때 취하는 다른 반응도 있다. 제자리 멈춰 서거나 죽은 척 하거나, 꿈쩍 않고 얼어붙기도 한다. 또한 몸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