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 (데이비드 몽고메리 지음, 이수영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식민지를 찾아서 오늘 날 우리는 북아프리카를 고대 세계의 곡창지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북아프리카 곡물이 기원전 330년에 그리스의 기근을 구제했고, 로마가 카르타고를 정복한 것도 어느 만큼 그 경작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로마사람들은 축산, 돌려짓기, 거름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다. 흙이 어떻게 해서 침식되었을까? 농사를 지으려면 수입 가운데 어느 만큼 흙의 비옥도를 높이는데 써야 하지만, 수확량을 최대화 하려면 흙이 양분을 다 써버려야 한다. 게다가 빚이나 굶주림에 허덕이는 농부에게는 당연히 토질이 저하된 땅에서라도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얻어내려 한다. 마야 농업의 시작은 화전농업방식이었다. 밀림 일부분을 돌도끼로 쳐낸 뒤 불을 놓았다. 그리고 불을 지른 후 뒤 옥수수와 콩을 심었다. 벌목한 숲이 불에 타서.. 고대 문명과 생명의 강 2 인구가 늘면서 도시끼리 경쟁관계가 형성되었다. 민병대 조직은 부가 집중되면서 메소포타미아 사회가 무장해야 했던 현실을 드러냈다. 수메르 도시국가들 사이에 전쟁이 벌어지면서 종교지도자가 아닌 군사지도자가 등장하여 스스로를 통치권력으로 자임했다. 새 통치자들이 사원에서 땅을 징발하고, 거대한 토지가 영향력 있는 가문과 세습 통치자들의 손에 집중되면서 사유재산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메소포타미아 농경지를 발달시킨 관개시설에는 숨겨진 위험이 있었다. 반건조 지역의 지하수에는 대개 소금이 많이 녹아있다. 강 유역과 삼각주에 위치하여 지하수면이 지표 가까이에 있는 곳에서 모세관 작용이 지하수를 흙층으로 끌어올려 증발시키기 때문에 소금기는 땅에 남는다. 반건조 지역의 흙에 소금이 축적되는 걸 막으려면 적당한 수준에서.. 고대 문명과 생명의 강1 2만년전 무렵, 가장 늦게 찾아온 빙하기가 절정에 이르렀을 때 빙하는 지구 표면의 3분의 1을 뒤덮었다. 열대지역이 아닌 곳에서는 빙하에 덮이지 않은 지역이라 해도 극심한 환경 변화를 겪었다. 유럽이 빙하에 덮일 때마다 북아프리카는 건조해서 사람이 살 수 없는 모래 바다가 되었다. 자연히 사람들이 떠나갔다. 아프리카 남쪽으로 돌아가기도 했고, 일부는 아시아를 향해 동쪽으로 가거나 남부 유럽으로 갔다. 주기적인 기후 변동이 나타남에 따라 인류는 전세계로 이동하며, 세계 곳곳을 돌아다녔다. 최근에 나타난 빙하기에 순록, 매머드, 털코뿔소, 큰뿔사슴들이 어마어마하게 떼를 지어 유럽의 얼어붙은 평원을 돌아다녔다. 얼음이 스칸디나비아, 발트해안, 영국북부와 아일랜드 대부분을 뒤덮었다. 나무가 자라지 않는 툰드라가.. 벗겨지는 지구의 살갗2 기후는 흙의 생성에 큰 영향을 준다. 높은 강우 강도와 높은 기온은 화학적 풍화작용을 촉진하고,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무기질이 점토로 전환되도록 작용한다. 추운 기후는 얼고 녹기를 거듭하는 동안 암석이 팽창하고 수축함으로써, 물리적으로 파괴되도록 자극한다. 또 추운 기후는 화학적 풍화작용을 더디게 한다. 따라서 높은 산과 극지방의 흙은 새 양분을 배출할 수 있는 신선한 무기질 표층이 많지만, 열대지방의 흙은 심하게 풍화되어 양분이 빠져나간 점토로 이루어져 있어서 농사짓는 땅으로 맞지 않다. 서로 다른 생태계를 구성하는 식물군락에 무엇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온과 강수량이다. 고위도 지방의 영구 동토에서 잘랄수 있는 식물은 툰드라의 딸기나무 뿐이다. 온대지역의 알맞은 기온과 강수량은 숲을 울창하게 하.. 벗겨지는 지구의 살갗 1 낙엽을 잘게 쪼개고 또 일부를 소화하면서 지렁이들은 이미 섭취한 고운 흙과 유기물을 섞는다. 지렁이들은 낙업을 잘게 갈뿐 아니라, 작은 돌까지 부수어 무기질 흙으로 바꾼다. 지렁이의 내장을 갈라보면 작은 돌들과 모래 알갱이가 나온다. 오늘 날 우리는 애팔래치아 산맥이 백만년이 넘도록 그대로 서 있음을 알고 있다. 지질학적으로 사망했고, 솟아오르지도 않는 애팔래치아 산맥은 공룡시대 이후 꾸준히 침식되어 왔다, 오늘날 널리 받아들여지는 '지각평형설'은 침식이 땅을 없애기도 하지만, 없어진 높이의 상당부분을 상쇄하기 위해 지표를 향해 암석을 끌어 올리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땅에서 흙이 쓸려 나가면 침식으로 사라진 부분을 상쇄하기 위해 새 암석이 융기한다. 바위 30센티미터가 사라진다면 땅 표면은 실제로 5센티.. 흙이란 ? 농업문명이 동트던 시기에는 땅을 일구는 이들의 98%가 식량과 자원의 분배를 담당하는 소수 관리계급을 먹여 살렸다. 오늘날 미국인 가운데 1%도 안되는 사람들이 땅을 일구고 있는데, 이들이 나머지 사람들을 먹여 살리고 있다. 몇 안되는 현대 농부들 에게 우리가 얼마나 크게 기대고 있는지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여러 고대문명은 간접적으로 흙을 고갈시키면서 성장해 나갔다. 농사를 지으면서 흙이 생기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흙이 사라져간 것이다. 세계 인구가 꾸준히 늘면서 1970년대 부터는 생산할 수 있는 농지의 규모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현대의 삶에서도 기름진 땅은 변함 없이 우리 행성에 밀집해 사는 사람들을 먹여살리는 바탕이라는 사실을 잊기 쉽다. 해마다 전 세계에서 사라지는 흙..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