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자의 심리학 (배르벨 바르데츠키

(12)
자립심과 자기수용 자존감 낮은 사람의 인성을 치유하는 목적은 통합된 자아와 안정적인 자존감을 심어주고, 자신을 사랑하고 자신의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하게 만들며, 절망적 감정에 대처하는 방법과 한계를 수용하는 방법과 무기력하게 남들에게 집착하지 않는 방법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 자립적 인격을 구축하는 것이다. 자립적인 인격을 구축한다는 것은 자기 모습을 포장하지 않고 살아가는 법을 배우고, 남들의 이해와 지원을 받으며, 누군가와는 거리를 두었다가 다가가고 강인한 존재인 동시에 남에게 도움 청할줄도 알며, 자기만의 개성을 포기하지 않고도 사랑받고, 자기의 의견을 분명히 표현하고 때로 거절당하는더라도 상대방이 자기자신을 거부하는게 아니라는 것을 깨달으며, 대단한 성과를 보여주지 않더라도 존재를 인정받는 경험을 하는 것이다. 이..
완전한 인간이 되는 길 자기는 가만히 있는데 남들이 자기 주변에 둘러서서 자기문제를 걱정해주고, 괴로워해 주기를 바란다. 그 여성에 대한 걱정과 염려를 중단하고 자기문제를 직접 해결하도록 내버려두는 시점에서부터, 그 여성은 자기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성숙된 태도를 발달시키는 것이다. 성숙한 태도를 갖게 되면 자신에게 부족한 점과 타협하는 법을 익히게 된다. 자기 일을 스스로 책임질줄 아는 당당한여성으로서 남자와 건설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실제 우리 삶에 있어서도 중요한 전환점들이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우연히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믿을 때 인생의 기회들이 찾아온다. 자기애적 인격장애는 환자 혼자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 아니다. 거기서 벗어나고 싶다면 다른 사람과 접촉하고 관계를 맺어야 한다. 실..
나르시시즘의 극복 진정한 아름다움이란 열린마음, 누군가를 진정으로 사랑할줄 아는 마음, 풍부한 감수성 등으로 구성된다. 기분이 좋을 때 혹은 사랑에 빠졌을 때면, 여자들은 예뻐진다. 내적인 충족감이 외부로 긍정적으로 발산되기 때문이다. 거짓자아는 표면적 아름다움에 집중한다. 밑바닥이란 말은 원래 AA(Alcoholics An mous, 알콜 의존적 환자)프로그램에서 유래된 말로 환자들이 더 이상 삶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에 빠진 지점을 가리킨다. 즉 새로운 길을 선택하지 않으면 죽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그런데 비단 중독자들만 밑바닥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다. 플래밍이 말했듯, 그냥 그대로 살아갈 이유가 훨씬 더 많고 변화를 시도해야 할 이유는 한가지 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 한가지를 도저히 견디지..
공의존, 사람중독, 섹스중독, 낭만중독 공의존, 사람중독, 섹스중독은 자기애적 자존감 및 대인관계와 밀접한 관계를 지닌 세가지 분야다. 원래 공의존은 알콜 의존증 환자 가족들의 상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개념이다. 중독에 빠진 남편 혹은 남편의 중독상태를 대하는 아내의 태도를 설명하는 말로서, 남편을 중독으로부터 구해내려는 목적으로 아내가 남편에게 극도로 매달리는 상태가 바로 공의존 상태이다. 그러나 그러한 선의는 오히려 남편을 더욱 심각한 중독상태로 몰고가는 결과를 낳는다. 아내는 자신은 돌보지 않고 남편만 걱정한다. 남편이 알코올에 중독된 반면, 아내는 남편에게 중독된 것이다. 그러다가 남편이 건강한 상태가 되면, 남편을 돕는게 일이었던 아내에게 갑자기 할 일이 없어진다. 홀로 남겨진 상태에서 아내는 힘든 시간을 보낸다. 아내는 자기..
남녀관계 딜레마란 진퇴양난의 상황, 양자간에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태, 궁지 등을 의미한다. 나르시시즘을 앓는 여성들의 대인관계가 딜레마에 빠지는 경우는 허다하다. 상대방에게 다가가는 쪽을 택하면 상대방이 나를 집어삼킬까봐 두렵고, 거리를 두는 쪽을 택하면 고독과 우울증이 엄습한다. 자기애에 빠진 여성들이 남녀관계에서 겪는 또 한가지 딜레마는 다른 모든 일에 있어서는 자신감 있고, 당당하던 자신이 남자문제에 있어서 만큼은 의존적이 된다는 것이다. 독립적 존재로서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고, 자신의 욕구나 자기만의 세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상대방이 사소한 비판이라도 하면 금세 마음의 상처를 입고 혼자만의 세계로 침잠한다. 그런 다음 자신의 단점찾기에 열중한다. 자존감이 낮은 여성들은 혼자가 되어서야 비로소 ..
나는 대체 누구인가? 구두적 우월감은 심각한 결핍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어린시절 충분한 수용과 애정을 받지 못하고 결핍과 방치만 경험한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잃어버린 것에 대한 보상심리가 잠재되어 있다. 이들은 대개 적극적으로 행동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모든 것을 그저 얻으려 한다. 자신이 원하는 것, 자신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조차 모르는 이들도 많다. 자신의 욕구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거나 충족시키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 이러한 구두적 욕구는 충족시킬 길이 없다. 그 욕구는 거짓 자아개념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남들의 관심을 끌어도 아무리 많은 것을 가져도 거짓자아에게 물을 주는 형국이기 때문에 만족할 수 없다. 다른 이들로부터 얻는 물리적, 감정적 양분을 받아들일 토양이 없다는 것이다. 아기들이 생후 ..
아빠, 엄마, 딸, 섭식장애 '3자결혼'은 셀비니 팔라졸리가 거식증 환자가족의 동맹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시용한 개념이다. 3자결혼에 있어서 딸은 하나로 연결된 부모와 경계를 두는 존재가 아니라, 부부의 일부가 된다. 다시말해 어머니뿐만 아니라 딸도 아버지의 파트너가 된다. 딸은 원칙적으로 자기와 상관없는 부모 문제에 개입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을 느낀다. 갈등을 겪는 부부사이에서 딸이 누구의 편을 들든 간에 거부당할 수 밖에 없고, 부모의 모순을 몸소 체험할 수 밖에 없다. 딸에게 있어서 어머니가 유일한 피난처인 때가 많기 때문이다. 모녀관계는 누구도 떼어낼 수 없을 만큼 서로 강하게 엮여 있다.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면서 서로 피하려는 관계이다. 겉으로는 서로가 걱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자신을 걱정하는 것이다. 상대방으로부터..
가족이라는 이름의 굴레 대략 생후 18개월쯤부터는 아이들의 생활공간이 확장된다. 혼자서 걸을 수 있고 엄마로부터 멀어지거나 엄마를 향해 다가갈 수 있으며, 각종 공간과 세계를 탐구할 수 있다. 또 언어능력이 발달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이 시기에는 우월감, 전지전능하다는 느낌, 열광, 자기자신에 대한 관심 등의 특징이 관찰된다. 이 아이들은 자신이 세계의 중심이고 그렇게 때문에 모두들 자신에게 무한한 관심을 보여야 한다고 믿는다. 이 시기 아이들은 그와 동시에 자신의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는 사실도 뼈아프게 깨닫는다. 우월감과 열등감의 통합을 방해하는 또 다른 원인은 부모가 아이에게 능력과 한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지 못하는 것이다. 부모와 아이사이에 의견충돌이 생길 때 부모가 승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