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죽음과 죽어감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14)
평화로운 죽음 시한부 환자들이 저마다 특별한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우리가 시간을 내어 곁에 앉아서 얘기를 들어 주고 그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질문해 주었을 때, 그 욕구가 충족 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기 그들의 고민을 들어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시한부 환자들의 곁에 조용히 불안감 없이 앉아있기 위해서는 먼저 죽음과 죽어감에 대해 우리 자신의 태도를 진지하게 돌아보아야 한다. 마음의 문을 여는 대화는 두려워 하지 않고 불안해 하지 않는 두사람이 만났을 때 가능한 일이다. 심리치료사 혹은 의사나 목사처럼 그런 역할을 하는 사람은 환자에게 죽음과 암 같은 단어를 들어도 달아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말과 행동으로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러면 환자가 그 신호를 감지한 뒤 마음을 열거나, 아니면 ..
삶의 마지막 순간 많은 환자들이 극도의 좌절감과 무력감을 느끼고 존재의 의미를 찾지 못한다. 그들은 의사의 회진을 기다리고, 엑스레이 촬영을 기다리고 약을 가져오는 간호사를 기다린다. 그들의 일상은 단조롭고 끊임없는 반복이다. 그러한 단조로운 일상속에서 누군가가 그를 찾아와 마음을 흔들어 놓고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그의 삶을 궁금해 하고, 그들의 감정, 그들의 힘, 그들의 희망과 분노에 대해 알고 싶어한다. 그리고 실제 의자를 끌어 그의 곁에 앉는다. 시간에 쫓기는 기색 없이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 준다. 결코 돌려서 말하지 않고 분명하고, 직설적이고, 단순한 언어로 그들이 마음 한 구석으로 밀어 두었던 그러나 수시로 떠오르는 생각을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그렇게 환자의 단조로운 일상과 외로움, 아무 기약도 없는 고통스러..
환자가족2 침대마다 중병 환자들이 누워있다. 갓 태어난 아기도 있고 죽어가는 노인도 있다. 침대마다 한번도 본적이 없는 최신장비가 달려 있다. 침대 밑 기둥에는 유리병이 매달려 있고, 흡입기가 있고, 모니터가 깜빡거리고 있다. 간호사와 의사들은 수시로 장비를 확인하며 위험신호가 잡히지 않는지 확인하느라 정신없다. 중환자실은 온갖 소음과 긴박한 상황과 중요한 결단이 있는 곳이다. 환자 가족들은 대체로 완전히 혼자 남겨진다. 그들은 기다림의 시간을 복도에서, 간이 식당에서, 혹은 병원 근처에서, 서성거리면서 보낸다. 어쩌다 의사와 간호사와 얘기를 해보려 하면, 지금 수술중이라거나 혹은 다른 일 보느라 바쁘다는 소리만 듣게 된다. 한명의 환자에 대해 책임있는 의료진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병원 사람들도 환자의 이름도 모르..
환자의 가족1 가족은 환자들의 투병 생활에서 중대한 역할을 할 뿐아니라,가족의 반응은 자신의 병을 받아들이는 환자의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만약 남편이 심각한 병에 걸려 입원했다면 아내는 그로 인한 집안의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아내는 갑자기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고, 더 이상 남편에게 의존할 수 없게 된다. 예전에 남편이 맡아서 해 주던 일들을 떠 맡아야 하고 새롭고, 낯설고, 부쩍 많아진 일들에 적응해야만한다. 갑자기 취직을 해야 할 수도 있고, 예전에 무심했던 재정적 문제를 떠안게 될 수 도 있다. 서서히 남편에 대한 근심과 걱정, 가중된 책임감과 집안 일, 외로움, 그리고 분노까지 밀려든다. 기대했던 친구나 친지들의 도움을 받을 수 없게 되고, 이웃들의 충고는 그들의 짐을 들어주기는 커녕 오히려 가중시킨다. ..
마지막까지 희망을 사실 그들이 하루를, 몇주를, 그리고 몇 달의 고통을 견딜 수 있는 것은 희망때문이다.환자들은 그들이 겪는 고통에 어떤 의미가 있을 거라고 믿고 싶어하고, 또 언젠가 자신들의 고통이 보상 받을거라고 믿고 싶어한다. 희망을 주려고 노력하지만 그들이 마침내 모든 것을 포기했을 때, 그것이 절망의 포기가 아닌 수용의 포기일 때, 우린 환자들에게 더 이상 희망을 강요하지 않는다. 곧 태어날 아기에 대해 얘기하듯 누구나 죽음과 죽어감에 대해 망설이지 않고 얘기 할 수 있다면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 얘기를 자주 할 수 있다면 환자 앞에서 그런 얘기를 꺼내도 될지 조금 더 기다려야 할지 고민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인간은 전지 전능한 존재가 아니므로 언제가 마지막이 될지 아무도 모른다. 어쩌면 그런 ..
수용 만약 환자에게 충분한 시간이 주어졌다면 갑작스럽고 뜻하지 않는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리고 앞서 말한 단계에서 적절한 도움을 받았다면, 환자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해 더 이상 우울해 하거나 분노하지 않는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그때 쯤 환자는 삶과 건강에 대한 자신의 동경을 표현했을 것이고 ,자신처럼 서둘러 마지막을 준비할 필요가 없는 사람들에 대한 분노도 표현했을 것이다. 소중한 사람들과 아름다운 것들을 영원히 잃어야만 하는 슬픔을 표현했을 것이고, 이제 조용히 기대감만 지닌채로 자신의 마지막에 대해 명상할 것이다. 수용의 단계가 행복한 상태로 잘못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이 단계는 감정의 공백기라 말할 수 있다.마치 고통이 사라지고 몸부림 치는 시간이 지나가고 나면, 어느 환자가 말했던 ..
협상 그리고 우울 협상 첫단계에서 슬픈 사실을 받아 들일 수 없었고, 두번째 단계에서 신에게 분노했다면 피할 수 없는 일을 조금 미루고 싶은 일종의 협상 단계에 도달하게 된다. 사실 환자들의 협상이라는 것은 죽음을 미루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자신의 처한 행위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것과 함께 스스로 정한 시한 같은 것이 포함된다. 또 그 소원만 이루어지면 더는 원하지 않겠다는 절대적 약속도 포함된다. 우울 시한부 환자가 더 이상 자신의 병을 부정할 수 없을 때, 주위에서 수술이나 입원을 강조하고 명확한 신체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때, 수척해 지고 허약해질 때, 환자는 더 이상 자신의 상황을 웃어넘길 수 없다. 무감각, 냉정, 분노, 흥분 같은 것들은 곧 바로 엄청난 상실감으로 대체된다. 엄청난 치료비와 입원비로 ..
분노2 항상 남을 지배하고, 남에게 요구하고 통제해온 사람은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가 힘든 경우도 많다. 그런 사람은 사실 가장 외로운 사람이다. 가장 까다로운 사람이고, 도움을 받는 것을 불편해하는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처음에는 거절하지만 본인이 원할 때는 받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보면 부유하고, 성공한 모든 것을 손에 쥔 사람이야말로 이런 상황에서는 가장 불쌍한 사람이다. 자신의 삶을 편안하게 만들었던 바로 그것을 잃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에는 누구나 결국 똑 같은 인간이다. 그러나 그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와 같은 사람들은 마지막까지 몸부림치면서 죽음을 삶의 마지막 결실로 겸허하게 받아들일 기회를 놓쳐버린다. "울고 싶거나 절망감에 휩싸일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