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물정의 사회학( 노명우 지음)

(17)
자기계발서, 현실 돈으로 할수 있는 일이 갈수록 늘어나고, 금력앞에서 권력도 맥을 못추는 자본주의의 법칙이 확장되는 사회에서, 사회적 성공은 인생의 옵션이 아니라 정언명령 (도덕법칙과 같은)과도 같다. 위인전을 읽고 자란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 돈의 힘을, 그리고 그 힘이 제공하는 돈맛을 알게 되면 위인전을 덮는다. 대신에 찾게되는 책이 '자기계발서'이다. 자기계발서 내용들은 아주 익숙하기만 하다. 1859년 새뮤얼 스마일즈가 쓴 ‘자조론’은 자기게발서의 원조다. 자기계발서가 표현하는 메시지는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 시련이 성공의 문, 늘 자신을 준비시켜라. 잡은 기회를 놓치지 마라. 굴하지 않는 의지력으로 꿈을 이루어라 등등 이다. 이 세상 사람은 오직 두 종류로 구분된다. 한편에서는 누구나 부러워하는 사람이, ..
나홀로 고스톱 나와 별다를 바 없는 외모를 지닌 사람인데 주변사람으로부터 인기를 얻으면 질투가 생긴다. 하지만 후광이 비칠 정도로 몸매와 얼굴을 지닌 사람을 감히 질투하지 않는다. 그 사람은 질투라는 감정이 생길 틈도 우리에게 주지 않는 완벽한 외모를 지니고 있다. 우린 그 순간 질투심을 버리고, 그저 부러워한다. 개인이 어떤 집단의 일원이 되는가에 따라 운이 좋은 개인은 개인 능력이상으로 인정받을 수도 있다. 같은 강도로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한 개인이 소속된 집단이 별볼일 없다면, 개인의 능력과 상관없이 그 사람 삶도 별 볼일 없이 끝날 가능성이 높다. 사람들은 사회학자가 아니어도 본능적으로 혹은 삶의 경험에 따라서 개인이 어느 집단에 속하는가에 따라 그 운명이 상당 부분 달라질 수 있음을 깨닫는다. 사람은 무..
자본주의가 종교를 만날 때 자본주의와 종교의 세속화가 만나면 구원의 조건도 변한다. 세속적 성공과 종교적 구원 가능성이 서로를 밀어내지 않는다는 사고방식을 베버는 ‘자본주의 정신’이라고 불렀다. 개신교는 사람들을 성공 지향적으로 만들수 있는 종교이고, 그 자체가 전통으로 부터의 혁신, 즉 종교적 성공을 지향하는 종교이다. 종교의 세속화가 더욱 진전되어 종교 자체가 문화로 용해되어 버린 나라, 그곳이 주커먼이 목격한 덴마크와 스웨덴이다. 종교가 문화로 분해되어 일상 속으로 스며들어가버린 나라, 그래서 종교를 믿는다 것 자체가 희한한 사례에 속할 정도로 극단적인 세속화의 길을 걷고 있는 나라인 덴마크와 스웨덴을 주커먼은 은유적으로 신이 없는 나라라 칭했다. 신이 없는 나라에서 종교는 그저 전통이 된다. 덴마크와 스웨덴에서도 종교는 그..
역사, 기술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기억이 있다. 행복으로 기억하는 과거의 그 순간을 추억이라 한다. 아무리 생생한 기억이라해도 체험 따위야 사적인 수다의 소재일 뿐이지만,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기억은 거대한 효과를 낳는다. 역사라는 기억은 우리를 국민으로 만들어 주는 학교이다. 역사를 배우며 우리는 민족의 전통과 뿌리를 배웠다. 20세기가 낳은 독일 사상가 발터 벤야민은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라는 글에서 누구도 문제삼지 못했던 무거운 개념인 역사에 대한 중요한 의문을 던진다. 그는 역사가 현재를 지배하는 사람이 과거 또한 지배하게 하는 장치로 전락했음을 알고 있다. 역사는 우리의 순진한 기대처럼 과거의 모든 기억이 집적되는 저장소가 아니다. 집합기억은 과거에 대한 모든 기억의 총합일 수 없다. 역사라는 집합기억은 현..
여론의 흥망성쇠 금연에 대한 의지가 강해도 의지보다 힘이 센 스트레스를 만나면 금연 시도는 순식간에 끝난다. 그렇기에 담배를 끊으려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당분간 미디어를 끊는 게 현명하다.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을 보거나, 신문을 읽으면서 자신도 모르게 입밖으로 욕설이 튀어나왔던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세상에는 텔레비전 카메라 앞에 서기에 함량 미달인 사람이 너무 많다. 텔레비전에 출현하거나, 칼럼을 쓰는 어떤 오피니언 리더에게는 자신의 말과 글 속에서 세상의 의견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자신의 주장이 얼마나 타당하고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자신의 지위를 확인하고 싶은 나르시시즘의 욕구와 혹여 권력자의 눈에 들어 이른바 한 자리를 차지하는 바탕이 되었으면 하는 심신에 의해 지배된..
선진국, 군중 세상에는 어려운 일들이 참으로 많지만 굳이 그중 하나만 꼽아보자면, 외국여행 다녀온 사람 입 막기도 빠질수 없다. 사람들은 그곳을 그 안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그곳에 관한 선입견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그곳에 갔던 사람들이 쓴 여행기를 통해 우리는 가보지 않고도 영국은 신사의 나라이니, 독일 사람들은 부지런하고, 이탈리아 사람들은 쾌활하니 등등의 판단을 내린다. 그리고 그 판단을 믿는다 . 미국 그리고 유럽을 다녀온 후 서유견문을 쓴 유길준은 우리에게 서양을 들여다 보는 안경을 씌워준다. 그 안경으로 세상을 보면 시계는 개화의 등급에 따라 수직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서유견문에 시시콜콜 설명되어 있는 서양에 있다는 개화국의 정치제도, 사회제도, 심지어 옷 입는 풍습과 테이블예법 등은 오..
맥도날드에 대한 명상 화학조미료를 탓하기보다 천연재료로 만들었어도 화학조미료를 투하해 미각을 마비시켜 맛있다고 느끼도록 만들어 내는 게 중요하다. 그게 의미 있는 스타일 변화다.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학자들이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하면, 모든 베스트셀러를 마음속 깊이 경멸하는 동료 학자들로부터는 학자의 체면을 구기는 품위없는 짓이라고 외면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용기 있는 사람들은 늘 존재한다. 합리화는 근대의 특징을 낳은 거대한 전환의 과정이다. 합리화는 인간의 행위를 규정하는 원리가 종교나 주술이 아니라, 예측 가능성과 계산 가능성에 의해 지배되는 과정이다.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의 저자 조지 리치는 햄버거 체인점의 테이블에 앉아 사람들을 구경한다. 참으로 다..
상식, 럭셔리 부자되기는 IMF 관리체제 이후 상식과도 같은 목표이다. 부자되기는 소박하고, 상식적인 희망이다. 개인은 소박한 꿈을 따를 뿐이지만 부자되기가 유일한 상식이 되는 순간, 몰상식이 시작된다. 많은 사람이 당연하다고 여기는 상식은 힘이 세다. 상식은 분명 양적 다수에 근거한 보편성이기 때문이다. 정책중심의 정당정치가 실현되어야 한다고 정치평론가들이 한결같이 주장해도, 정치인들은 정책보다 상식을 이용하는 편이 양적 다수를 자신의 편으로 만드는데 유리함을 동물적인 감각으로 알고 있다. 평범한 사람들은 상식의 명령대로 살아간다. 지배적인 상식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관용적 표현과 행동속에 숨어 있다. 상식은 언어의 관습속에 숨어 있기 때문이다. 서민은 보다 정확한 표현인 빈민, 저소득층이라는 단어보다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