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얼마나 있어야 충분한가? (로버트 스

(21)
케인즈의 오류3 우리는 묻는다. 왜 모든 것을 가진 사람들이 항상 더 많이 원하는 것처럼 보일까? 욕구는 개별적이지만 그것이 표현되는 방식이나, 권장되거나 억압받는 방식은 사회적이다. 사람들은 자기가 가진 것에 대해 지루함을 느끼기 마련이다. 필요가 모두 충족되고 불편함이 모두 사라지면 고요한 만족감이 아니라, 불만의 상태가 남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새로운 것이 나와 그 불만을 없애주어야 한다. 그리고 최고급 리조트에서 보내는 휴가, 아름답게 꾸며진 정원, 또다른 여러 희귀한 재화는 사회가 아무리 부유해진다해도, 그 사회의 모든 사람이 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케인즈의 제자 로이 해로드는 희소성의 소재를 '과두적 재화'라 불렀다. 과두적 재화가 반드시 물질적으로 부족한 것만은 아니다. 사회적으로 부족할 수도 있다...
케인즈의 오류2 사람들이 일하는 시간을 줄이지 않는 것은 일을 즐기기 때문이거나, 그만큼 일을 하지 않을수 없기 때문이거나, 점점 더 많은 것을 원하기 때문이다. '일하지 않는 자는 먹지도 말라'고 레닌은 성 바울의 말을 빌려 선언했다. 케인즈는 당시 경제학의 견해에 따라 필요한 것을 얻기 위해 치르는 대가가 일이라 생각했다. 성경은 신에게 불복종하는 인간이 그 벌로 노동을 하도록 저주를 받았다고 말한다. 일은 더이상 경제학자가 말하는 노동이 아닌, 애정을 가지고 행하는 활동이다. 자극받고 정체성을 확립하고, 가치와 사회성을 얻게 해주는 근원인 것이다. 간단하게 말해 일은 더 이상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만이 아니다. 그것은 원칙적으로 만족감을 준다. 이것이 왜 사람들이 생계유지에 필요한 이상으로 오래 일하는가에..
케인즈의 오류1 케인즈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우리가 고통스러운 것은 노년 때문이 아니라, 너무 빠른 변화로 인한 성장통 때문이다. 한 경제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재적응이 주는 고통스러움이다." 실업에 대해서는 "노동력의 새 용도를 찾아내는 즉 새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속도가 노동력을 아끼는 혹은, 인건비를 아끼는 수단을 발견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데서 기인하는 실업“이라는 것이다. 케인즈는 대규모 전쟁도 없고 인구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100년이내에 경제적인 문제들은 해결되었거나, 적어도 해결을 목전에 두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노동을 조금만 하더라도 물질적인 필요가 모두 층족될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가 기대하고 있는 것은 예술가나 자유로운 정신을 소유한 이들에게서나 보이는 삶에..
좋은 삶이란? 좋은 삶은 무엇이고, 좋지 않은 삶은 무엇인가? 철학자들은 경험세계의 어지러운 상황에는 고개를 돌린 채 완벽한 정의시스템을 구축한다. 반면 경제학자들은 주관적 욕구를 어떻게 하면 잘 충족시킬 것인가를 묻는다. 케인즈의 성장에 대한 예견은 놀라울 정도로 정확했다. 그러나 우리는 왜 100년이 지났는 데도 여전히 힘들게 일하고 있는가? 우리는 그 이유를 자유시장 경제가 고용주들에게 노동시간과 노동조건을 좌지우지 할 힘을 주며, 우월감을 맛보기 위해 경쟁적으로 소비하고 싶어 하는 우리 내면의 성향에 불을 지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성장을 멈추고 분배에 힘써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반대로 무엇보다 지금은 성장의 종결을 거론할 시기가 아니다며, 케인즈가 있었다면 실업을 낮추고 정부 빚을 청산하기 위해 성장을 ..
무엇을 위한 성장이고 무엇의 성장인가? 우리의 가치관과 삶의 방식을 바꾸는 것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기존 가치관과 삶의 방식은 문제가 많다는 것을 알지만 이미 익숙해져 있고, 새로운 대안은 낯설 뿐 아니라, 그 성공 여부도 대단히 불확실하며, 매력적으로 느끼지 않다는게 현실이다. 돈에 대한 사랑은 인간의 피할 수 없는 본능이지만, 이 본능이 어느 수준 이상으로 터져나오지 않도록 도덕과 교양으로 제어하는 게 이전의 사회적 규범이었다. 우리가 음식을 먹는 것이 더 뚱뚱해지기 위해서가 아니듯 돈벌이 자체는 인간의 진정한 목적이 될 수 없음을 논리적으로 주장한다. 그럼에도 자본축적과 경제성장의 논리가 만족을 모르는 인간의 나약한 본성을 부채질함으로써 돈이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제 인간의 끝없는 욕망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