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딸에게 들려주는 작은 철학 ( 롤란트

(26)
인간은 얼마나 큰가? (2) 우리의 우주가 공간적, 시간적으로 무한한 것이라면 그것은 이런 의미일 것이다. 우리는 우주의 처음과 끝을 생각할 수 없고, 마찬가지로 가장 큰 것과 가장 작은 것도 생각할 수 없다. 이 모든 것들은 우리 자신과 관련 되어 있다. 이것이 뜻하는 것은 크고 작음이나 빠르고 느림 그리고 그밖의 것을 규정할때 우리는 언제나 우리 자신이 관련축이 되어 우리의 입장에서 출발한다는 사실이다. 절대적 크기란 존재하지 않는다. 상대적인 크기, 결국 관계들만이 있을 뿐이다. 모든 것은 성대적인 것으로서 다른 그 무엇과 관련된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서로 관련시키는 중심점이 바로 우리 인간이다. 측정할 때 사용하는 모든 측도의 단위들을 우리의 필요에 따라 만들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세계를 관찰하며 큰 것과 작은 것, 가벼..
인간은 얼마나 큰가? (1) 우리 인간들의 크기는 도대체 어느 정도 일까? 우리는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옮기는 것처럼 모든 측정 단위롤 다른 단위로 환산할 수 있다. 1 센테미터는 어느 정도 크기일까? 간단하게 자를 대보면 된다. 센티미터 자는 사람들이 이미 정해 놓은 착도에서 온 것이다. 우리가 모든 사람이 인정하는 척도를 확정했으며 이 척도를 이용하여 모든 것을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는 우리 나름의 판단에 따라 마음대로 기준을 정하며, 기준만 있으면 곧 바로 세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기준점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 인간이다. 다시 말해서 그 기준점을 우리의 목적과 필요에 따라 결정하기 때문에 우리 자신이 바로 그 기준점이며 우리들이 곧 모든 사물의 척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와 상관없이 이미..
가장 큰 것과 가장 작은 것(2) 원소들이 어떻게 더 큰 덩어리로 서로 결합할 수 있을까?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모든 것은 분명히 수많은 원자들이 단단하게 붙어있는 질료의 덩어리다. 어떤 접착제가 있기라도 한 것일까? 원자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그 어떤 다른 것, 어떤 힘이 있어야 한다. 어떤 종류의 힘이 있을까? 모든 물체가 아래로 향하게 하는 중력이 있다. 또 다른 힘이 있는데 그 힘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늘 접하고 있는 것으로서 당기고 미는 힘이다. 나침반을 그렇게 오랫동안 사용했으면서도 자석 바늘이 항상 남북방향을 가리키는 까닭을 안 것은 훨씬 후의 일이었다. 19세기에 우리의 현실에서 나타나는 전기현상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했을 때, 사람들은 점차로 전하, 전장, 전력의 작용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다. 덴마크의 원자물리학자 닐스..
가장 큰 것과 가장 작은 것(1) 우리는 일정한 작기까지 이를테면 모래알 정도 크기까지는 우리는 눈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우리 몸의 새포 하나하나를 무장하지 않는 눈으로 식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람들은 보이지 않으면 없다고 생각한다. 철학자들은 첫 번째로 시작에 대해서 질문을 제기했다. 종교도 이와 같은 질문을 던지고 있지만 철학자들이 내린 답은 달랐다. 이를테면 유대교나 그리스도교에서는 세계가 창조주에 의해 인격체에 의해 창조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에 반해서 최초의 철학자들은 세계의 시작을 기본원소에서 찾았다. 물, 공기, 흙, 불이 기본원소들이다. 물이거나 돌이거나 또는 사람이 만들어 낸 합성수지까지 모든 질료는 더 작게 나눌 수 있다. 먼지 알갱이는 더 쪼갤 수 없을까? 더 이상 나눌수 없는 가장 작은 크기 그리스..
우주안에서 우리의 위치는 어디일까? 이러한 일반적 지식의 도움으로 천문학자들은 각 별마다 거리를 규정할 수 있었다. 수천 광년이나 멀리 떨어진 별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별견했다. 태양을 포함해서 이 별들은 일종의 불바퀴 모양 혹은 엄청난 규모의 소용돌이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수십억 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회전하는 판이다. 이 판의 지름은 거의 10만 광년에 달한다. 나선은하(성운)이라 불리는 불바퀴들은 우주에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 우리가 속한 은하에 가장 가까이 있는 은하는 안드로메다 은하이다. 그것은 1백만 내지 2백만 광년 정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천문학자들은 점점 성능이 개선된 관측도구들 이른바 천체 망원경을 가지고 계속해서 우리에게서 더욱 더 멀리 떨어진 새로운 은하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관찰에서 그들은 우윳빛으로 흐르는 모습..
세계상의 발전(2) 어쨌든 시작을 결정하려면 태양이 움직여가는 경로를 추적해야 하고, 그것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측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막대기를 세워 놓고 계절마다 달라지는 그림자의 길이를 측정한다면, 나는 태양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한 해의 길이와 연속되는 계절들을 결정할 수 있으면, 달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관찰하고 달과 태양의 위치 변화에 주의하면, 그리고 이러한 위치 변화를 초승달에서 반달로 보름달로 커졌다가 다시 사그라지는 달의 규칙적인 형태 변화와 관련지어 본다면, 그렇게 이 모든 현상들을 관찰하고 숙고한다면, 나는 이런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발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이라는 빛을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에게 보이는달의 형태는 지구와 태양 사이에서 달이 어떤 위치에 오느냐에 따라 ..
세계상의 발전 (1) 그리스인들이 수학과 기하학을 열심히 연구했다는 사실을 말해야겠다. 삼각형에서 한 번의 길이와 양 끝 각의 크기를 알면, 다음과 같이 삼각형 전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지구가 평평한 판이라고 가정해보자.두 점 사이의 선분 AB의 길이를 알 수 있고, 그와 함께 A와 B각 지점에서 태양이 보이는 각도의 크기도 알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태양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태양이 아주 멀리 떨어져 있고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안다면, 나는 다음과 같이 생각하게 될 것이다. 태양이 지구 위 A지점에서 정점에 떠 있을 때, 다시 말해서 태양이 똑바로 위에 와서 수직으로 빛을 내려 그림자가 생기지 않을 때, B지점에서는 태양으로부터 수직 광선을 받을 수 없고, 약간 경사진 빛을 받을 것이다...
지식의 근원 한사람의 개인이 어떻게 지식을 얻게 되는지를 묻기로 하자. 그 답은 간단하다. 다른 사람들이 그에게 지식을 전해준다. 물론 아이들의 복잡한 질문에 대답하려고 애쓰는 부모들이 첫 번째로 여기에 속한다. 하지만 부모라고해서 모든 것을 다 알 수는 없고, 또 아이들에게 지식을 전해줄 충분한 시간도 없기 때문에 부모들은 아이들을 학교에 보낸다. 학교에는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하는 것이 직업이기 때문에 선생님이라고 불리는 어른들이 있다. 아이들은 부모를 믿었던 것처럼 처음에는 선생님의 말씀을 모두 믿어버린다. 아이들은 선생님도 모든 것을 다 아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지식만을 가졌으며, 그 지식도 애매한 경우에는 책에서 확인한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전달되는가를 설명할 뿐 지식이 어떻게 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