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 심리학 (권

(37)
인간관계의 부적응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적응해가는 존재이다. '적응'은 변화하는 주변환경 속에서 살아가기 위한 개인의 노력을 의미한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사람과 만나면서 생활한다. 우리가 적응해야 하는 주된 환경은 인간사회이다. 사람과의 관계속에서 우리는 적응해가야 한다. 인간관계 속에서 때로는 즐거움을 느끼지만 때로는 불편하고 불쾌한 감정을 경험한다. 인간관계는 늘 친밀하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정적관계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하는 역동적인 관계이다. 낯선 사람과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상황, 형성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심화하여 발전시켜야 하는 상황, 갈등적인 인간관계를 해소하거나 청산해야 하는 상황 등 다양하다. 인간관계의 부적응은 여러 가지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첫째..
의미있는 타인 우리가 인간관계를 맺은 사람들은 각기의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우리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일수록 의미있는 타인이된다. * 내가 좋아하고 또한 나를 좋아하는 사람 * 내가 닮고 싶은 사람 * 내가 조언과 충고를 해줄 수 있는 사람 * 내 의견과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 * 나의 개인적 성장을 촉진하는 사람 * 내가 정서적으로 가장 깊게 신뢰하는 사람 * 나와 같은 가치관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 * 나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 * 나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람 의미있는 타인은 크게 네가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의미있는 타인은 나에 대한 사회적 지지자의 역할을 한다. 변함없이 지원을 해주는 사람일수록 나에게 의미있는 타인이 된다. 둘째..
인간관계의 분류 인생의 각 시기마다 새로운 인간관계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때마다 새로운 위치에서 새로운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인간관계는 그 형성 요인에 따라 일차적 인간관계와 이차적 인간관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차적 인간관계는 혈연, 지연, 학연 등에 의해 형성되는 인간관계를 말한다. 일차적 인간관계는 본인의 선택이나 의사와 상관없이 부여되는 인간관계이다. 이차적 인간관계는 개인적인 매력, 직업적 이해관계, 가치, 사상, 신념, 종교, 취미의 공유에 의해 형성되는 인간관계이다. 직장동료, 애인, 친구, 친목단체의 구성원이 이에 해당한다. 인간관계는 구성원의 나이, 촌수, 학번, 계급, 지위, 권한 등의 동등성 여부에 따라 수직적 인간관계와 수평적인간관계로 나눌 수 있다. 수직적 인간관계에서 상위자에게는 하급자..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타인으로부터 소외된 고독한 삶은 불행하고 고통스럽다. 인간에게 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벌은 감금이다. 즉 교도소에 감금되어 타인과 관계를 강제적으로 차단하고 고립하는 것이다. 고독이 괴로운 이유는 인간이 근본적으로 타인과의 관계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가장 무력한 상태로 태어나는 동물이다. 혼자서 도저히 생존할 수 없는 존재로 태어난다. 뿐만 아니라, 인간은 독립적 생활을 하기까지 가장 오랜 양육기간을 필요로 하는 존재이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타인의 보호와 도움을 필요로하는 의존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개인으로서의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매우 나약한 존재이다. 불리한 신체적 조건을 가지고, 약육강식의 환경속에서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협동적인 선택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현대인의 고독 쎙떽쥐베리의 우화적 소설 ‘어린왕자’나오는 어린왕자와 여우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다. 바쁘게 돌아가는 경쟁사회속에서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맺으며, 마음속 깊이 고독을 안고 살아가는 우리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인간은 나약하고 외로운 존재다. 그래서 인간은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자 하는 소망을 지닌다. 여우가 말하듯 '길들이기'를 통해 친밀한 정서적 유대관계를 맺고자 하는 갈망을 지닌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이러한 소망과 갈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좋은 토양이 아니다. 그래서 많은 현대인은 외로움을 안고 산다. 실존 심리학자인 May는 ‘현대인들이 산업문명의 중독으로 거대한 사회구조의 노예가 되어 인간상실과 자아상실의 이중적 고통속에서 고독과 공허감으로 고통 받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