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이 생물학이다(에른스트 마이어,

인간윤리의 기원

다윈 이전에는 ‘인간 도덕성의 근본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전통적인 대답은 ' 신神이 주신 이다'였다. 도덕성의 본질은 무엇인가? 어떤 도덕성이 인류에게 가장 타당한가? 다윈의 공통조상 이론이 그 동안 유일신 종교뿐만 아니라, 철학자들에 의해 주어진 자연에서의 인간의 독보적인 위치를 박탈했다. 인간도 동물을 그 조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이 차이 역시 진화의 관점에서 설명되어야 했다. 다윈의 자연선택론은 자연 현상들에서 모든 초자연적인 요소를 제거했으며, 은연 중에 인간의 도덕성을 비롯한 세상의 모든 것이 다 신神에 의해 만들어지고, 그 율법에 따라 움직인다는 자연신학의 가정들을 반박했다.

 

헉슬리는 자연선택은 오로지 개체 수준에서만 작용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자연선택은 공익에 대하여 아무런 기여도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어렴풋이나마 개인의 이기심이 사회의 복지와 엇갈릴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었다이타적 행위는 일반적으로 비용과 이득이 번식성공도로 가늠될 때 '손해를 보면서도 다른 개체를 돕는 행위'라고 알려져 있다. 이타주의는 철학자 오귀스트 콩트가 다른 사람들의 복리를 염려한다는 것을 뜻하기 위해 만든 용어이다.  개인은 세가지 다른 맥락에서 선택의 단위가 될 수 있다.  개체, 갖고 구성원 그리고 사회집단의 구성원이 그것이다. 이타주의는 자식돌보기 행동을 보이거나,  대체로 대가족으로 이루어진 사회 집단을 가지고 있는 種에서 발견된다.

 

아비가 자식을 보호하려는 행동,  가까운 가족들에게 위험한 상황을 경고하거나 보호하려는 경향, 기꺼이 먹이를 나누어 먹는 행동들은 이타주의자가 자식이나 가까운 친족 등 자신의 행동으로부터 도움을 얻는 자들과 공유하는 유전자형의 적합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자연선택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이것을 가리켜 이런 행동들이 이타주의자들의 '포괄적합도'를 올려준다고 말한다. 이처럼 세대들의 유전자풀이 가까운 친족들을 위한 몇몇 개체들의 공헌에 영향을 받으면, 우리는 그 과정을 친족 선택이라고 부른다.  이타주의자의 유전자형에 이득이 되는 한 엄밀히 말하면, 그것은 이타적 행동이라기보다 이기적 행동이다.  나는 포괄적합도 이타주의는 주로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을 중심으로 오늘날 인간 윤리의 작은 부분을 차지할 뿐이라고 생각한다. 

 

표범과 같은 단서성 동물들은 사회성 동물들에 비해 포괄적합도 이타주의를 경험할 기회가 적다. 단서성 동물들은 자식을 제외한 다른 어누 누구에게도 이타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결론에 유일한 예외가 있다면, 개체들간 서로 이득이 되는 관계 즉 호혜성 이타주의의 경우다. 개체수 중의 선택압을 통해 진화한 포괄적합도 이타주의와 호혜성 이타주의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인간 윤리의 요소는 문화집단에 작용하는 선택압에 의해 진화한 윤리규범과 행동들이다역사가 거듭하여 보여 주듯이 문화집단 전체의 복리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행동들이 보전 되었고, 또 그런 행동규범들이 가장 오래 살아남았다. 다시 말해 인간의 윤리 행위는 적응적이다. 

 

대가족이나 비교적 작은 규모의 무리가 보다 더 크고 개방적인 사회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가까운 친족에게만 행해지던 이타주의가 비친족 개체들에게로 확장될 수밖에 없었다. 집단의 규모가 커지면 먼 친족이나 비친족의 복리까지 챙겨야 했지만,  인력 증가로 인하여 집단이 보다 막강해지는 선택적 이득이 있었다집단적 규범을 적응하기 위해서는 추론 능력을 가지는 인간 두뇌의 진화가 선행되어야 했다. 윤리적 행동은 의도적 선택을 할 수 있는 인지능력을 기초로 한다.  심슨에 따르면, 어떤 행동이 윤리적으로 분류 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만족되어야 한다.  첫째 행위의 대안적 양태들이 있어야 한다.  둘째 개인들은 이러한 대안들을 윤리적으로 판단할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셋째 개인들은 윤리적으로 옳다고 판단되는 대안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윤리적 행동은 분명히 자신의 행위에 대한 결과를 예측할수 있고, 결과에 책임지려는 개인의 자질에 달려있다.  아얄라는 대체로 나와 비슷한 견해를 피력했다. 인간이란 생물학적으로 다음 세가지 조건 때문에 윤리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라 설명했다.

 

첫째 자기 자신의 행위가 어떤 결과를 빚을 것인지 알 수 있는 능력,

둘째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

셋째 행동의 대안적 방향들을 놓고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인간이 윤리적 행동을 보일 수 있는 능력은 유아기와 아동기가 엄청나게 길어진 것, 그래서 자식을 돌보는 기간 역시 길어진 것,  인간 집단이 대가적 규모 이상으로 늘어난 것,  종족 특유의 전통과 문화가 발달 한 것 등 인간 특성들의 진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