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이 생물학이다(에른스트 마이어,

문화집단이 어떻게 그들의 독특한 윤리규범을 얻는가?

도덕적인 존재를 자신의 과거와 미래의 행위, 또는 동기를 비교할 줄 아는, 그래서 그것들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할 수 있는 개체라고 정의한 것으로 보아,  다윈은 신중하게 생각하는 행동을 도덕성의 중요한 요소여긴 듯 싶다. 버트란트 러셀은 '집단에 이득이 되는 것이 객관적으로 옳다. 전 세계의 윤리규범들을 비교해 보면, 공동체의 복리가 어떤 형태로든 개인의 이득에 앞서는 집단들이 더 성공적이었다'고 여겼다. 한 문화집단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가치 체계가 그 집단을 수적으로 번창하게 만들어 결국 이웃 집단에 종족 말살의 전쟁을 일으키고,  승자가 패자의 영토를 차지하는 시나리오를 상상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는 일이다.

 

다른 집단에 비해 자신들의 집단을 보다 강력하게 만들어주는 집단내 이타주의를 비롯한 그 밖의 다른 행동들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선택의 보상을 받는다집단을 분열시키는 성향들은 그 집단을 약하게 만들어 결국 절멸로 이끈다.  그러므로 각 사회집단 또는 종족의 윤리체계 및 몇몇 지도자의 개선 노력은 물론 시행 착오나 성공과 실패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할 것이다. 윤리규범의 우선 순위도 상황에 따라 문화권마다 다르다. 전 세계가 다 동일한 윤리규범 우선 순위를 갖고 있다고 쉽게 생각하는 미국인 중개자들은 중국인들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한다.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속에서 어린아이들에게 이러한 규범의 우선 순위를 가르치는 것이 바로 일종의 도덕교육이다양 철학자들은 가치에 순위를 매길 수 있는 다양한 잣대들을 제안하여, 이 같은 윤리적 상대성을 극복해 보려 했다. 황금률이 그런 잣대중의 하나이다.

 

규범이란 다수에게 최대의 이익을 제공하는 정도에 따라 평가해야 한다는 공리주의가 또 하나의 제안이다. 정직성은 오랫동안 훌륭한 가치로 인정 되었고, 정의는 서양에서 가장 고귀한 윤리규범이다. 하지만 어떤 것이 정당하고 공정한 것인지에 대하여 모든 사람이 공감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개인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태도들이 높게 평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도덕적이라고 여겨지는 것들의 대부분은 자기가 속해 있는 집단의 규모와 관련이 있다. 집단이 지나 치게 커지면, 지도자들이 통제력을 잃게 되어 결국 갈라진다. 반대로 집단이 너무 작으면 경쟁집단들의 공격 대상이 된다.  약 1만-1만5천 년전에 농경시대로 접어들면서 집단 규모는 원시종족의 규모를 넘어서기 시작했다.  식량의 증가로 인구증가를 가능하게 했고, 큰 집단일수록 침략자들로부터 자신을 더 잘 보호할 있게 되었다.  그러나 집단의 규모가 커지면서 새로운 윤리적 걀등이 생겨났다.  예를 들면 재산권이 중요해지는 것과 같이 가치관의 변화가 불가피했다.

 

인간 문화 집단이 커짐에 따라 특히 도시가 만들어지고,  국가가 형성됨에 따라 단일한 한 사회 에서도 제각기 조금씩 다른 윤리관을 갖고 있는 다른 사회계층이 생겨났다. 대부분의 봉건사회에서 보듯이 이러한 변화에 의해 전반적인 불평등이 나타나고,  궁극에는 혁명으로 이어졌다.  서구에서 일어난 민주주의와 평등의 원칙을 위한 투쟁은 이전 시기의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반응이었다. ' 특정 집단이 어떻게 그들만의 고유한 윤리규범을 얻게 되는가' 하는 물음에 어떤 결론을 내릴 것인가? 인간 사고의 결과인가, 아니면 가장 적응적인 윤리체계를 가진 집단들의 임의적인 생존의 결과인가? 원시 인간사회의 엄청나게 다양한 윤리규범들을 보면,  많은 차이는 그저 우연에 의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중국과 인도를 포함한 주요 종교들과 철학들을 비교해 보면, 역사는 달라도 윤리규준들은 놀랄만큼 흡사하다.

 

산위의 설교에서 모세와 예수가 공표한 규범들은 사고의 결과임이 확실하다.  그와 같은 규범들은 일단 받아들여지면 문화적 전통의 일부가 되며, 세대를 거쳐 문화로서 전해진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우리 문화의 전통적인 규범에 따라 결정한다.  여러 규범들 간에 갈등이 있을 때에야 우리는 비로소 합리적인 분석을 한다. 그러나 한 문화권의 개인들이 어떻게 이러한 전통규범을 습득하게 되는가? 도덕심의 발달에서 본성과 양육의 상대적인 역할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