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868)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성숙에 머무는 아이들 신체적 성장과 성인으로서의 생리적 기능이 갖추어졌다고 해서 저절로 심리적, 정서적 성숙이 수반되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세계는 취학 전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아동증후군이 그 연령을 훨씬 지난 많은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십대와 어른들에게서 조차 그런 증후군이 발견되기도 한다. 많은 어른들이 성숙에 도달하지 못했다. 자신의 정서적 욕구를 가꿀 줄 알고 다른 이들의 욕구를 존중할 줄 알며,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는 자신이 되는 법을 완전히 터득하지 못한 것이다. 성숙이 일반적으로 자리 잡지 못하는 것에는 또래지향성이 주된 원인이다. 미성숙과 또래지향성은 서로 협력관계이다. 아이의 일생에서 또래지향성이 일찍 시작될수록, 또래에 대한 집착이 강할수록 영원히 철없는 어린애로 살아갈 가능성이 커진다. 우리.. 功遂身退 天之道也 우리 동네 폭설이 내리던 날 성복천을 따라 아이들을 만나러 갔다. 언제 이런 설경을 볼 수 있겠는가? 눈은 온 세상을 하얗게 덮어버리지만 세상은 고요하기만 하다. 인적이 드문 적막한 풍경을 홀로 즐긴다. 우산 속에서 하하 호호 깔깔거리는 연인들은 즐겁기만 하다. 가까이 다가오니 할매 할배다. 참 정겹고 부럽다. 지난 20년 동안 일상에서 항상 화두로 삼은 것이 ‘어떻게 살 것인가?’이다. 먼저 생존해야 하니 먹고 살아야 하고, 그리고 의미 있고 즐겁게 사는 것이 성공한 삶이라 생각한다. 젊어서는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려가야 하니 생존에 더 무게를 두지만, 나이 들어 어느 정도 사회에 정착하게 되면, 의미 있는 삶을 살며 즐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나이 들어 죽음이 보이면 하루하루 성찰하며 의미 있는 삶.. 느낌을 거부하는 아이들 요즘 인터넷 대화에 사용하는 문장은 뜻이 분명치 않은 단음절로 축약하고 있다. 진정한 의사소통이 없는 의미없는 접촉이다. 중요한 정보를 공유하려는 의도가 없다. 이런 대화들이 의미 없이 오랫동안 지속된다. 이것은 자아에 대한 가치는 전혀 드러내지 않으면서 접촉하려는 맹목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의 십대들은 어른 사회와 전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많은 부모들이 자신의 전통을 아이들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무능력과 좌절감의 밑바탕에는 이런 아이들의 종족화 현상이 자리하고 있다. 아이들이 속한 각각의 종족 내에서 가치관과 문화는 무지하고 미성숙한 개인에게서 개인으로 수평적으로 전달되고 있다. 세대 간 어느 정도 긴장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대개는 아이들이 연장자의 문화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성숙을 유도함.. 왜 아이들은 반항 하는가? 아이의 애착이 우리를 도와주는 마지막 방법은 바로 부모에게 착한 아이가 되고 싶은 욕망이다. 아이가 못되게 구는 이유는 부모에게 잘 보이고 싶은 욕망이 없기 때문이다. 슬픈 일이지만 부모가 요구하는 기준이 절망적일 정도로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부모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다. 하지만 아이의 욕망 자체가 없다면 부모이 기대가 현실적이든 아니든 그것은 중요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양육을 위해서 애착이 이룰 수 있는 가장 큰 업적은 아이에게 착한 아이가 되고 싶은 욕망을 심어주는 것이다. 우리가 어떤 아이를 착하다고 이야기할 때 우리는 그 아이의 내적인 특성을 묘사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이의 착은 성격을 키우는 것은 아이의 어른에 대한 애착이다. 착한 아이가 되고 싶은 충동은 아이 성격에서 비롯되.. 힘을 잃은 부모들 부모로서의 힘은 모든 일이 순리에 따랐을 때 애쓸 필요 없이 굳이 태세를 취하거나 밀어붙이지 않아도 나오게 되어 있다. 반면 부모로서의 힘이 모자라면 그만큼 목소리를 높이고 무자비한 태도를 보이고 위협을 하고, 아이들이 우리 요구를 듣게 하기 위해 다른 수단을 찾게 된다. 부모역할을 제대로 하려면 힘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왜 그럴까? 우리는 책임을 져야하기 때문이다. 책임을 완수할 수 있는 힘이 없다면 부모역할을 할 수가 없다. 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는 부모역할의 역학관계를 이해할 수 없다. 부모로서의 힘은 아이에게서 주의를 집중시키고, 바람직한 태도를 이끌어내고, 부모에 대한 존경을 불러일으키고, 아이의 협력을 보장한다. 이런 네 가지 능력이 빠진 채 강압이나 매수만으로 아이를 설득할 수 있.. 부모가 밀려나는 이유 아이들은 애착을 형성하려는 유전적 충동으로 움직이지만, 그 대상이 꼭 부모나 교사여야 한다고 아이의 뇌에 새겨져 있는 것은 아니다. 아이의 뇌는 그저 방향을 정하고 애착을 형성하고 나침반 방위의 역할을 하는 사람과의 접촉을 지속하게끔 프로그램 되어 있다. 우리 사회에서는 아이를 보살피는 일이 과소평가되고 있다. 보육기관에 대한 자금자원도 부족하다. 사실 아이와 관계없는 사람이 아이의 애착과 지향을 충분히 충족시켜주는 것은 힘들다. 보육시설이나 유치원을 거쳐 아이들은 학교에 입학한 뒤에도 하루 대부분을 또래들과 어울리며, 어른의 중요성은 사라진 환경 속에서 보낸다. 안정적인 조부모, 삼촌, 고모들의 존재, 다세대 가족이 감싸주는 포옹은 이젠 극소수의 아이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다. 부모의 이혼은 아이.. 뒤틀린 애착, 파괴된 본능 우리 문화에서 또래지향성과 아이들이 어른에게 갖는 애착은 경쟁관계에 놓여 있다. 심리학의 영역에서 애착은 관계와 사회기능이 핵심이다. 인간에게 애착은 신체적, 행동적, 정서적, 심리적인 접근과 친밀함과 결합을 추구하고 보존하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애착은 절대적이다.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하는 아이들은 어른에게 의지해야 한다. 아기는 세상에 태어날 수 있을 만큼의 생존능력을 키울 때까지는 부모에 붙어있어야 한다. 이처럼 아이들은 자기 두발로 설 수 있을 때까지, 스스로 생각할 수 있을 때까지, 나아갈 방향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을 때까지는 부모에게 정서적으로 단단히 붙어있어야 한다. 애착과 마찬가지로 지향본능은 우리 본성이다. 지향의 가장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형식은 자신이 존재하는 공간과 시간을 파악하는 .. 부모는 왜 중요한가? 오랜 만에 글을 올린다. 인서 독서지도를 하면서 인서를 보면 이 정도면 참 잘 성장하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인성도 올바르고 공부 지능도 뛰어난 편이다. 엄마를 어려워하면서도 엄마와의 애착 형성이 잘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 마음이 또래에게 가 있을 때 아이는 부모와 반대편이 선다. 부모와 닮은 것을 혐오하고 최대한 부모와 달라지고 싶어 한다. 누군가와의 친밀감을 추구하게 되면 그와 경쟁관계에 있는 사람은 배척하려는 욕구 때문이다. 아이들이 또래지향성을 띠게 되면 애착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부모는 졸지에 경멸, 조롱, 멸시, 모욕의 대상이 되어버린다. 요즘 아이들은 예전보다 어른을 따르지 않는다. 순진하지도 않다. 세상에 대해 감동하거나 자연과 세상의 경이로움을 탐구하는 열의도 부족한 것 같다. 많은 .. 이전 1 2 3 4 ··· 4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