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나 한잔 들고가게! (1000)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간을 만드는요소들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할을 하고, 안정된 삶을 살아야 사회가 안정되고 유지된다. 구성원이 조직을 만들고, 그 조직이 또한 구성원을 만들어 낸다. 인간 사회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는 물론 인간 자신이다. 구성원이 건강해야 그 사회 역시 건강하다. 그래서 인간이 사회생.. 어른 나는 여러가지 면에서 아직 참 어리다. 앞으로 얼마나 더 살수 있을지 모르지만, 나는 어른이고 싶다. 이 세상에는 나를 포함하여 제대로된 어른은 별로 없다. 오히려 어른은 비난의 대상이다. 이 세상은 한 사람의 영웅으로 구할 수는 없다. 수 많은 어른이 이 세상을 이끌어 가야 한다. .. 세상을 제대로 해석하는 능력이... 삶에서 어떤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은 내 몸이 받아들인 정보 - 외부 상황, 자극-를 내가 제대로 해석할 줄 아는 능력이 있을 때 가능하다. 아무리 좋은 환경, 가치있는 정보가 있어도 느낄줄 모르고, 해석할 줄 모르면 의미있는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없다. 인간은 외부로부터 받은 자극을 .. 관계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관계를 맺는다. 태어나면 먼저 엄마와 관계를 맺고, 아빠와 관계를 맺고, 가족과 관계를 맺는다. 그리고 젖병과 인형 등 장난감과 관계를 맺는다. 부모의 의존에서 벗어나 홀로 행동하기 시작하면서, 세상을 알아가고, 친구들과 관계를 맺고, 주변환경과 관계를 맺.. 먼저 평정심이 기반이 되어야 잘 산다는 것은 '물질적인 욕구 충족만은 아니다'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리고 더 이상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른다. 오로지 물질적으로 더 많이 가지려는 욕망외는 없다. 잘 살기 위해서, 물론 물질적인 뒷받침 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문제는 인생의 모든 것을 거기에 낭.. 나에 대한 부정이 나를 만든다. 세상만물 모든 것은, 그 무엇과 함께 있을 때 그것만의 본질, 그 무엇이 있어야 비로소 그것이 나타난다. 인간을 존재하는 것도 주변에 있는 그 무엇들이다. 그것이 인간이든, 물질이든... 인간은 무엇을 상대하면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반응한다. 그러한 상호작용들이 우리네 삶이고, 우.. 교육 교육을 통해 우리가 배우는 것은 지금까지 정리되어 있는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학에 대한 개념, 지식들이다. 이러한 것들은 교과서를 통해 배우며, 삶을 살아가는 지식이 되며, 현시점에서 의심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패러다임들이다. 패러다임은 한 시대의 사회가 공유한 이론이나 .. 자연의 순리에 따라야 너무 복잡한 현대사회의 일상에서, 자신의 생존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인간의 본능은 스스로를 내세우려 애쓴다. 하지만 너무 자신을 내세우지 말고 사물의 본성에 따라 살아야 한다. 사물의 본질에 맞게 대응하고, 자연의 이치에 따라 내 삶을 맞추어야 한다. 자연의 이치를 인간이 바꾼.. 이전 1 ··· 81 82 83 84 85 86 87 ··· 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