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sperare’에서 왔으며 그 의미는 '희망'이다. 절망은 모든 희망을 잃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공허한 것, 망망 대해에서 표류하는 것, 목적 혹은 믿음 없이 존재 하는 것, 삶의 흐름으로부터 단절 되는 것, 우주로부터 추방당하는 것 같은 느낌이다. 절망은 마음과 몸, 가슴과 영혼을 지배한다. 가벼운 형태의 절망은 즐겁거나, 흥분 되는 행위 또는 사람에 의해 어느정도까지 나아질 수 있다. 술 같은 것들에 의해 한시적으로 덜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술은 장기적으로는 절망을 강화시킬 뿐이다. 절망이 극단적으로 표현되었을 때에는 쉽게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없다. 지독한 자기 혐오는 절망의 잘 알려진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나는 실패했어' '나는 형편 없는 놈이야' '나는 아무 것도 아니야' 이러한 자기 혐오적인 사고는 절망을 키우고 부채질 한다.
절망은 인간 조건 거운데 당연한 부분이다. 오랜 기간 절망을 느끼는 것은 바람직한 삶에 대한 우리 문화의 관점에 들어 맞지 않는 것이다. 절망에 대해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오래전에 그 대답은 간단했다. '견뎌라. ' 절망은 인간의 정당한 감정이다. 이 감정은 우리에게 인간이 지닌 괴로움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로부터 의미를 찾아달라는 요구를 슬픔과 공포 보다도 훨씬 많이 포함하고 있다. 현재 약 2000만명의 미국인이 일종의 우울증을 앓고 있다. 이 숫자는 의사들에 의해 기록된 것만을 추산한 것이다. 즉 우울증을 술과 약물에 의존해서 스스로 치료해 보려는 수백만명의 사람들과 정신병으로 검토 되지않는 또 다른 수백만명의 사람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우울증의 증가는 미국에만 국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밝고 낙천적이며 경쾌한 기분좋음이, 정상적인 사람이 대부분의 시간 동안 삶에 대해 느끼거나, 반드시 느껴야 하는 것의 척도다. 한 번에 2주이상 슬프고, 풀이 죽어 있고, 비관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은 전문가들에 의하면 비정상적인 것이다.
절망은 비옥한 암흑으로의 여행에 우리를 초대한다. 절망은 우리에게 명백히 무의미한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부,터 의미를 찾으라고 부탁한다. 슬퍼하지 못한 상실들을 슬퍼하고, 제대로 고찰해 보지 못한 사람을 고찰하고, 세상에 대한 우리의 분노를 인정하고, 번데기에서 빠져나와 새롭게 태어날 수 있도록 노력하라고 부탁한다. 절망은 가혹하고 무리한 요구를 하는 공사감독이다. 이것은 우리의 일상적인 일들을 멈추고, 우리 삶속의 습관을 멈추고, 우리 존재의 의미에 대해 숙고하기 바라고 졸라댄다. “더 깊이 들어가라”고 말한다.
우울증이 뇌 내 세로토닌이 충분하지 않아서 생기는 결과라는 연구에 대해서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우울증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그리고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 물질과 관련지어 왔다. 그러나 이 설명 역시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의사들은 의학적인 사실이라고 믿고 있지만, 이것은 전혀 증명되지 않은 가설에 불과하다. 사실이라 할지라도 신경전달 물질의 결핍이 존재한다는 것과 이들이 원인이라는 결론 사이에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절망은 우리의 삶과 우리가 존재의 의미를 묻게 만드는 세상 모든 것의 중앙에 위치한 깊은 웅덩이로 우리를 몰아넣는다. 절망은 존재론적으로 허무를 경험하게 한다. 이 허무는 역사적 또는 사적인 경험에 의해 상처입은 사람들만이 아니라 삶에 부족함이 전혀 없는 사람들 역시 겪는 것이다. 절망은 슬픔 보다 공포보다 더 인지적인 감정이다. 절망은 사물의 본질에 대한 우리의 믿음과 관련이 있다.
의미 만들기는 인간다움을 정의 할 수 있는 특징이다. 생존하고 살아나기 위해 음식이 필요하듯이 우리 인간들은 번창하기 위해 그리고 절망을 막기 위해, 의미를 필요로 하는 것 같다.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생존자인 정신병리학자 빅터 프랭클에 의하면 '인간존재에서 가장 기본적인 동기 부여의 힘이 의미의 추구'라고 한다. 인간에게 목적 또는 의미가 없이 생존하는 것은 공기 없이 살아 있는 것과 진배없다.
우리 사회에서 절망에 빠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울증에 시달리는 여성이 차지한다. 여성들은 남성들 보다 주요 우울증 증상에 대해 검진을 세배나 더 받으며, 남성들의 비율보다 열배나 많이 우울증을 앓고 있다. 결혼생활이 불행한 여성들은 남편들보다 다섯배 정도 더 우울하다. 최저 생계수준에 살고 있는 여성들은 특히 우울증에 빠질 위험이 높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들이 갖고 있는 억압과 희생의 대상으로서의 경험, 타인을 돌보고 키우는 역할은 다른 요소들 보다도 더 우울증을 일으키기 쉽다. 남성 중심적인 사회구조가 급격하게 그리고 체계적으로 변모하기 전까지 여성들의 절망은 계속해서 억압이 우울증을 일으키게 될 것이다.
치유에는 사랑, 시간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활짝 열린 마음이 필요하다. 명상은 고통스러운 감정과 육체적인 상태를 인내하는 법을 가르친다. 자신을 태양과 비 모두에 열려 있는 꽃과 같이 열어 놓아라. 우리 가운데 어느 누구도 삶의 고통으로부터, 절망 또는 다른 어둠의 감정으로부터, 완전히 치료될 수는 없다. 행복은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안으로부터 오는 것이다.
'감 정 공 부 (미리암 그린스팬, 이종복 옮'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세상에 세상은 우리 안에 있다. (0) | 2009.11.30 |
---|---|
두려움 (0) | 2009.11.27 |
슬픔 (0) | 2009.11.25 |
감정연금술 일곱단계 (0) | 2009.11.25 |
감정에 대해 (0) | 2009.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