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뇌煩惱를 끊는 이야기(간화선의 길

아상을 덜어내는 동물관

요즘 사람들은 믿는 불교가 아닌 아는 불교를 하려고 한다. 아는 데 갇혀서 불교가 어려워진다. 문명을 말하다 보니  사람의 두뇌가 이성화된 나머지 삶 속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이성적으로만 해결하려고 한다. 그러나 인간은 사람이며 사람인 동시에 동물적 근성도 같이 가지고 있다.  불교의 가르침 중에 아상, 인상, 중생상을 말한다. 그러나 그 개체 속에는 부처가 있습니다. 동물 또한 그 생명 속에는 불성이 있다.  다만 동물이다, 사람이다 하는 상이 서로 간에 그 불성의 성질을 가로막고 있는 것 뿐이다. 우리가 배운 지식으로 사람이라는 상에 너무 집착하면 곧 그것이 펄펄 살아있는 생명체를 장애한다. 우리는 흔히 인간을 동물보다 높은 수준에 있다고 생각한다. 삶이라는 것은 동물적인 것이 인간으로 되어가는 과정이 아닐까? 우리는 인간의 수준을 너무 높은 이상적인 것에다 둔다.

 

잘못이나 부족함을 스스로 받아들여야 내가 나를 용서할 수 있다. 나의 영적인 성장은 다시 시작된다. 이제 나는 너그러워진다.  금강경에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없어야 부처를 본다는 불성의 뜻이 나로부터 살아난다.  우리가 품고 있는 불성, 곧 깨달음의 씨앗은 모양도 없고 크거나 작거나가 없다.  색깔도 없고, 중생이나 부처가 없고, 동양인과 서양인도 없고, 남자와 여자, 천국과 지옥도 없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은 나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말하고 듣고 움직이고, 생각과 감정이 일어난 줄도 알고, 배고프면 배고픈 줄도 아는 것 속에 있는 것이다. 동물 또한 배고프면 배고픈줄 안다.  다만 사람과 동물이 다른 점은 사람은 깨달을 줄을 아는 자각성을

지니고 있다는 데 있다.  깨달음의 성질은 배워서 아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배우기 전에 이미 스스로 품고 있어 온 것이다. (깨달음은 내 속에 있는 것을 아는 것이다.) 육조 혜능은 이를 자성이라고 했다. 부처님은 불성이라고 했다. (자성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 속에 있는 것이며 내 스스로 깨닫고 삶과 연결하는 것이다. )

 

불교는 나에게 이미 있는 이 불성을 믿는 데에서부터 시작한다. 화를 낸 사람은 화를 낸 뒤에 스스로 화 낸 것을 안다.  이 아는 자가 나에게는 있다. 번뇌가 일어나면 번뇌가 일어난 것을 아는 자가 역시 있다스스로 자각이 오므로 안다.  이 자각하는 자가 있는 줄 알기만 하면, 이성적인 습관은 곧 놓아진다.  내가 만든 모순은 이 아는 자에게 들키자마자 사라져 버린다.분노와 번뇌까지도 이 스스로 아는 자에게 들키기만 하면 그것들은 곧 힘을 잃는다. 사라진다. 마음이 편안하다. 비어있는 성질을 '금강경'에  '과거심도, 현재심도, 미래심도 얻을 수 없다'고 보여준다.  우리는 형상이나 이름에 매달려 그것이 실재하는 것으로 믿고 산다. 그게 집착이다. 이 집착이 우리 속에 있는 불성을 가려버리고 있는 것이다.  서양문화에서 Exuse me,. I am sorry라는 말을 많이 한다. 이러한 언어의 저변에는 사람들이 실수하지 않고 완전하고 싶다는 뜻의 표현을 담고 있기도 하다. 완전하고 싶다는 마음에서 긴장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홀로 된다. 사람은 실수할 수 있다라고 받아들여야 한다. 그리고 실수를 보고 웃을 줄도 알아야 한다. 이젠 실수는 고치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 여유가 생긴다. 실수는 정상이다서로가 서로에게 받아 들이는 마음이 필요하다. 그러면 우리는 너그러워진다. 그 너그러워짐속에 사람과 사람사이 통로가 생긴다. 

 

인간의 본성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인간은 스스로 외롭고 감정이 메말라 간다.  그리고 많은 규칙과 제도를 만들어 낸다. '사람이 실수하는것은 정상이다'라고 생각할 때,  우선 내가 먼저 여유로워진다. 나를 사랑하게 되고 남의 실수도 받아들여 남도 사랑하게 된다. 이런 곳에는 긴장이 없다. 깨달음은 우선 이런 것을 쉬는 곳에서 시작해야 한다. 사람의 생각은 좁고 좁다.  그 속에서는 세상이 바로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생각이 마음에 와 닿으면 그 생각은 지혜로 변한다. 우리는 인간은 동무물과 다른 고차원적 존재라고 교육을 받는다. 인간은 동물이다. 지혜를 품고 있는 동물이다. 지혜를 만나면 그 폭이 넒어진 동물이 된다. 현대사회가 제공하는 이성 교육은 마음의 일을 뒤로 하고 이성을 우선시 한다. 사람속에 있는 불성이 싹터 나올 기약이 없다.  문명의 그늘이 사람을 더 어둡게 만들고 있다.  문명인은 내 마음에 없는 헛것을 붙들고 있는 것이 너무 많다. 부족한 것을 더듬더듬 익혀라. 서툴러 보이지만 그것이 아름답다.지자智者는 더듬어 물어가며 살아가는 것이다. 사람은 서툴지만 익어가는 과정에 있는 것이 정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