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신의 감정이 당신에게 말하는 것(

죄책감과 자부심

죄책감

 죄책감은 의도 했든 아니든 나의 행동이 다른 사람의 신체나 감정에 성처를 주었을 때 느끼는, 아주 꺼림칙한 사회적, 자의식적 감정이다. 죄책감은 잘못을 개선하고자 취하는 조치나 행동과 관계가 있다. 실수를 바로잡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노력해야만 죄책감이 주는 감정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죄책감은 사회유대나 인간관계에 해가 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죄책감을 느낄때 하는 행동은 개인의 성향이나 기질에 따라 다르다. 옳은 일에 집착하는 사람이나, 올바른 행동 기준을 무시하는 사람이나, 죄책감을 다루기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자기 존재 자체를 부정적으로 느끼는 수치심과 달리 죄책감은 잘못된 행동에 초점을 둔다. 죄책감은 우리가 다른 사람을 아프게 했다는 사실을 깨우쳐 주는 신호이다. 지그문트 프로이드는 죄책감이 생기는 주된 원인은 힘 있는 존재에 대한 두려움과 부모의 사랑을 잃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이며, 이러한 두려움이 결국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내적 감각인 양심으로 발전한다고 믿었다. 또 문화는 죄책감을 강화하여 사회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고도 보았다. 권력자에 대한 두려움과 부모의 사랑을 잃을지 모른다는 두려움만이 죄책감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남들을 배려하고 자기 행동의 결과에 대해 책임지거나, 잘못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는 능력은 어린시절 사회 경험을 통해 길러지는 공감능력이나 친사회적 능력에서 나온다.  이렇게 사람들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죄책감을 이해하려는 입장에서는 죄책감의 주된 원인이 공감과 애착관계를 잃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라고 강조한다. 공감은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그의 느낌, 생각, 태도에 이해하고 공유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죄책감은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고, 그 고통에 책임을 느낄 때 생긴다. 또 사회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있거나 관계를 이어 나가고 싶은 사람과 멀어질 때 느끼는 불안 역시 죄책감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비난 받을 상황이 아닐 때 조차 죄책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죄책감은 스스로 비난 받아 마땅하다는 생각보다는 타인과의 관계를 회복하려는 목적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이 일련의 연구는 죄책감이 인간관계를 유지하도록 돕는 사회적 감정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죄책감은 우리가 어떤 잘못을 저질렀을 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알려주지만, 그에 따라 어떤 조치를 취할지는 우리 자신에게 달려있다. 죄책감은 의도했든 아니든 나의 행동이 다른 사람의 신체나 감정에 상처를 주었을 때, 그 상황을 시정하라고 경고하는 신호이다. 사회화 경험은 타인을 배려하고 자신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이해 하며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을 개발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

 

자부심

 감정의 주된 목적은 우리가 어떤 목표나 성과를 이루도록 이끌어주는 것이다. 자부심은 어떤 행동의 결과로 생기는 긍정적인 상태를 뜻하므로 자부심을 느낄 때 기분도 좋아진다. 자부심은 건강한 열정을 안겨준다. 진화과정에서 자부심이라는 감정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다른 사람에게 알리는 열할을 했다. 자부심을 드러내는 사람은 중요한 인물로 받아들여진다는 뜻이다. 분노를 발산하면 힘있는 인물처럼 보이기는 해도 다른 이들에게 위협을 주어 외면 받게 된다. 결국 스스로의 성취에서 나오는 자신감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게 유리한다.  자기평가나 대인관계에 따르는 감정이라는 점에서 자부심은 창피함, 죄책감, 수치심과 더불어 자의식적 감정에 속한다. 자부심을 느낄 때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낙관적이고 뿌듯한 감정을 경험한다. 자신의 가치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를 뜻하는 자존감과 달리 자부심은 어떤 일을 잘해낼때 처럼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 느끼는 감정이다. 일단 성공으로 자부심을 느끼면 우리는 더 대단한 성취를 바란다. 자부심을 안겨주었던 경험은 꾸준히 노력하여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어려운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열정을 심어준다.

 

오만함은 지나치게 자신감이 넘치는 태도를 뜻하며 거만하거나 이기적인 자부심을 느낄 때 나타난다. 오만함은 일반적으로 스스로를 아주 대단한 사람으로 여기는 것을 뜻한다. 자부심, 오만함, 수치심은 복잡한 감정이며 우리의 행동을 지배한다. 남을 괴롭히는 사람의 자신감은 오만함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수치심을 쉽게 느끼는 성향을 감추고자 일부러 오만한 태도를 보인다. 우리가 아는 사람 중에도 공격적인 행동을 통해 유명해지거나 과정된 자심감으로 부정하게 사회적 지위를 획득한 사람들이 있다. 목표달성에 실패할 때 느끼는 수치심이나 죄책감과는 대조적으로 자부심은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안겨준다. 하지만 자부심을 지속하고 싶다면 현실적인 목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있게 달성할 수 있는 작은 단계로 목표를 나누어 이행한다면, 실패에 따르는 수치심이나 죄책감이 두려워 지레 포기하는 일을 막을수 있다. 자부심은 무언가를 성취했을 때 느끼는 긍정적인 심리상태이다.

 

자부심을 표현하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얼마나 가치있고 중요한 사람인지 알릴 수 있으므로, 자부심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자부심은 자신을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자부심이 지나치면 자만으로 이어질수 있지만, 자만심 역시 우리에게 유용할 때가 있다. 오만함은 지나치게 자신감이 넘치는 태도를 뜻하며, 자신에 대해 거만하거나 이기적인 자부심을 느낄 때 나타난다. 오만함은 자랑스러운 행동과 자기자신을 분리하지 않는다.

 

'당신의 감정이 당신에게 말하는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과 슬픔  (0) 2016.01.05
외로움  (0) 2016.01.04
창피함, 수치심  (0) 2015.12.31
두려움  (0) 2015.12.30
불안  (0) 2015.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