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몸 사용설명서(마이클 로이젠, 메

생식선

생소한 용어지만 생식선, 즉 성선은 우리 몸에서 성호르몬을 만들어내는 분비샘으로 남성, 여성 모두 한쌍씩 가지고 있다. 남성의 고환은 양쪽에 두 개가 있고 음낭안에 위치해 있으며, 생식에 필요한 정자를 만들어낸다. 뇌하수체 신호에 따라 대부분의 테스토스테론을 생산하여 남성의 성징을 나타나게 만드는데, 수염이 난다거나 저음의 목소리, 모험 같은 행동을 하게 한다. 남성은 20대의 경우 테스토스테론이 최고치에 이르며 부족한 경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심하면 심장이 관상동맥 질환을 더욱 진행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테스토스테론 보충요법은 성욕감퇴나 발기부전을 해결하고, 근력강화를 돕는 한 벙법이지만 전립선암을 증가시킬 가능성 때문에 연구가 더 필요하다. 여자의 경우 난소가 생식선 기능을 담당한다. 난소는 난자를 만들어 내는 곳이다.

 

폐경기에는 생리중단뿐 아니라 임신과정 및 여성의 2차성장을 돕는 에스트로겐과 프로제스테론이라는 호르몬 분비도 줄어든다. 원래는 호르몬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경미한 증상을 느낀다고 하지만, 사람마다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많은 여성들이 안면홍조, 야간발한, 불면증, 성욕감퇴, 점막건조, 심각한 기분 장애를 호소한다. 호르몬은 여러방면에서 우리몸을 조절한다. 에너지공급, 수분공급, 체온조절을 도와주며,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남녀 모두 성욕을 조절하기도 한다.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피곤하고 무기력하며, 매사에 의욕을 잃게 될 수도 있다. 호르몬이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뇌기능도 적절하게 유지된다.

 

혈압이라는 것은 단순히 말해 혈관을 타고 흐르는 혈액이 양과 압력을 의미한다. 혈압이 높아지면 당뇨합병증이 심해지며, 신부전(신장이 노폐물을 다 처리하지 못함)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밖에 호르몬과 관련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적정혈압115-75를 유지한다면, 노화 진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체중을 줄이면 혈압도, 당뇨 위험도 낮아지고, 내분비계도 원활하게 유지된다. 비만은 기나긴 굶주림에 대비하여 지방을 체내에 최대한 저장헤 놓으려는 신체의 반응에서 시작되었으나 이제 더 이상 필요가 없다. 운동은 신장과 근골력계 및 우리 몸 전체에 매우 중요한데, 특히 당뇨와 관련되어 내분비계에도 꼭 필요하다. 혈압과 호르몬을 조절하여 근육이 당을 섭취하는 것을 증가 시켜준다. 운동하는 동안 내분비계의 인슐린이 분비되고 대부분의 당은 연료로 사용되어 혈당이 낮아진다. 내분비계가 제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혈압조절이 필수적이다. 혈압을 낮추기 위해서는 혈관을 순환하는 혈액량을 줄여야 하고, 혈관벽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낮추어야 하며, 좀더 굵은 혈관이 필요하다. 흔히 약물치료를 하기전에 시도하는 것이 싱겁게 먹는 방법이다. 소금이 체내에 수분을 축적시키기 때문이다. 

 

건강을 위해 먹지만, 매일 그날의 기분을 좋게 유지시켜 주는 호르몬을 위하여 먹는 것이기도 하다. 인삼, 계피, 그리고 차는 인슐린의 반응성을 높여 2형 당뇨병의 위험을 줄여준다고 알려져 있다. 음식 중에는 체내 에스트로겐과 비슷하게 작용하는 것들이 있다. 우선 십자화과에 속하는 브로콜리, 양배추, 꽃양배추 그리고 싹 양배추가 있다. 이들은 에스트로겐처럼 작용하는 성분을 지니고 있으며 유방암을 예방한다. 칼슘 섭취로 혈관 노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칼륨은 전해질 가운데 하나로 세포가 적절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특히 신경 전도와 근육수축에 관여하고, 혈압을 조절하고, 심장과 신장기능을 유지한다. 참고로 하루에 바나나 세 개면 칼륨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으며 이것만 으로도 0.6세 젊어질 수 있다고 한다. 빵과 시리얼에 대량 함유되어 있으며, 대두와 리마콩에는 1인분에 100mg, 대부분의 견과류에 100-300mg이 들어있다.

 

 

'내몸 사용설명서(마이클 로이젠, 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란의 세포: 암2  (0) 2013.09.16
광란의 세포: 암(1)  (0) 2013.09.12
신장, 췌장  (0) 2013.09.10
갑상선 호르몬, 부신  (0) 2013.09.09
분비샘 : 뇌하수체  (0) 2013.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