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욕스런 소비자에서 열정적인 생산자로 전환한다는 것은, 기본 전제와 역량, 습관을 바꾸는 가장 어려운 전환이다. 무엇보다 의미있고 열정적이며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일로 나아가기 위한 변화이자, 돈과 소비를 최우선으로 놓았던 종래의 근로의식을 뒤바꾸기 위한 전환이다. 전통적인 경력과 전통적인 일에 속하던 것들이 조금씩 사라지고 있다. 그 자리를 잠재적으로 훨씬 큰 자유와 더 많은 기회를 만들어 낼 새로운 직업, 업무방식이 차지하고 있다.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활동을 할 시간을 내지 못한다면, 이러한 전환은 결코 실현할 수 없다. 일에 모든 에너지를 소진하던 태도에서 벗어나 더 균형 잡히고 의미있는 업무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전환을 할 때 무엇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까? 전환을 이루려면 전통적인 거래를 더 미래 준비적인 거래로 옮겨가야 한다. 대다수 사람들이 일을 찾을 때 추구하는 전통적인 거래는 아마도 이런 모습일 것이다. ' 일하고 월급 받아 그 월급으로 물건을 소비한다. 그렇게 해서 행복해진다.'
전통적인 거래는 주로 고액연봉과 소비를 추구한다. 지난 20년 동안 대부분이 탐욕스럽게 소비했다. 소비패턴은 생활방식이나 사회가 제공하는 기술적 편의에 반응해 항상 조금씩 변화하고 달라졌다. 1901년에는 그 이전보다 식료품 지출 감소에서 오는 차액을 자동차구매에 충당되었다. 2009년에 미국의 소비는 식품에서 주택위주로 옮겨 갔는데, 대부분 저리로 대출받아 대도시 주변에 새로 지은 주택을 구매했다. 일의 미래를 형성할 다섯가지 힘은 전통적인 거래를 조금씩 무너뜨리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거래로의 전환을 더욱 중요하게 만든다. Y세대는 수십년 동안 매일 밤늦게 퇴근하고, 깨어있을 때는 몇분마다 휴대전화를 확인하고, 출장 때문에 주말을 포기했다. 그래서 Y세대와 그 뒤를 이를 세대는 선택의 결과를 충분히 이해한다. 선진국들이 재정을 긴축하고 불경기와 호경기가 번갈아 지속되며, 탄소 발자국 감소의 필요성에 대한 것도 많은 압박을 가한다. 사람들이 가족생활에 대해 제대로 된 선택을 할수록 성찰과 현명함이 늘어나 직장생활에서도 올바른 선택을 하게 된다.
열정적 생산자로 옮겨가는 전환의 내부에는 더 심층적이고 감정적인 문제가 깔려 있다. 그것은 힘과 지위, 필요와 요구 그리고 돈과 소비가 일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문제다. 경험을 평가하고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도 존재한다. 이런 문제에는 두가지 특징이 있다. 첫 번째 일, 돈, 소비, 지위는 서로 너무 얽혀 있어 분리해서 생각하기에 무리가 있다. 두 번째로는 돈과 소비의 힘은 대개 과대평가 되지만, 생산적 경험의 힘은 과소평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일을 선택할 때 돈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필요한 수준보다 보수를 적게 받는다면 일을 통해 얻는 다른 모든 경험은 사실상 아무런 의미가없다. 소득이 늘어날수록 새로운 부에 걸맞도록 생활방식을 바꾸고 어디에서 행복을 얻는지도 다시 계산한다. 복권 당첨자들은 독서와 맛있는 식사등 과거에 즐겁게 여기던 것들에 대한 관심과 열정에 시들해진다. 다시 말해 행복의 쳇바퀴라는 상태에 빠져든다. 행복의 쳇바퀴란 간단히 말해 어제 고맙게 여겼던 것을 오늘은 당연한 권리로 여기고, 한번 누리기 시작한 것에 대해서는 즐겁게 누리는 마음이 갈수록 줄어드는 심리성향을 말한다.
소득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감사히 여기는 마음이 줄어든다. 그러나 우정을 쌓고 전문능력을 계발할수록 거기에서 오는 기쁨은 더 커진다. 물질에 의존하는 성향이 강하면, 수동적으로 활동할 가능성이 커진다. 가령 물질적 욕구가 낮은 사람일수록 타인과 어울리거나 미래를 설계하는 데 많은 시간을 쓰는 편이다. 대리 부모나 다름없는 텔레비전은 돈으로 사는 물건을 삶의 축소판이라도 되는 양 묘사한다. 부모들은 아이들을 포르노로부터 보호하려 하면서, 막상 물질로 호소하는 원식적인 가르침에 대해서는 생각없이 노출시킨다. 어른으로 성장해도 소비에 대한 사고방식이 그래로 유지된다. 전통적인 거래를 통해 우리는 물질적 보상이 좋은 것이라고 반복해서 학습하고 이런 연결 관계는 계속 보상을 받고 강화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는 높은 소득을 얻는 일은 좋은 일이고, 그렇지 않은 일은 나쁜 일이라고 믿는 학습을 하게 된다. 그 결과 소득이 계속해서 일의 목표가 되고, 이는 물질적 목표를 더욱 강화시킨다. 사회에서 지위를 입증하는 지배적인 수단이자 개인이 가장 갈망하는 것은 바로 돈이다. 남들에게 자신의 우월함을 입증하려다 보면, 부담이 점점 늘어간다. 돈을 과대평가 하면 일의 다른 부분은 과소평가하게 된다.
왜 일을 하고, 무슨 일을 할지 어떤 방식으로 선택했는가?
* 같이 일하기 즐겁고 배울 점이 있는 사람들과 함께 일 할 수 있어서
* 기량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어서
* 유연하게 일할 기회를 주어서
* 배우기 위해서............
'일의 미래 ( 린다 그래튼 지음, 조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다. (0) | 2012.09.18 |
---|---|
탐욕스런 소비자 vs 열정적인 생산자(2) (0) | 2012.09.17 |
불행한 싸움꾼 과 현명한 해결사 (competitor vs connector) 2 (0) | 2012.09.12 |
불행한 싸움꾼 과 현명한 해결사 ( competitor vs connector) 1 (0) | 2012.09.11 |
평범한 제너럴리스트와 유연한 전문가( serial master)3 (0) | 201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