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려움(스리니바산 S. 필레이 지음,

(19)
왜 행복하다고 느끼지 못하지? 살다보면 어느 순간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 동시에 일어난다. 그런데 긍정적인 일이 아무리 많이 일어나도 스트레스 받는 상황 한두가지면, 거기에 찬물을 끼얹기에 충분한 경우를 자주 본다. 왜 그럴까? 우리 뇌는 많은 감정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뇌는 위험을 먼저 처리하도록 진화되었고, 이때 흔히 다른 감정들은 희생된다. 무의식적인 두려움과 의식적인 사건들 사이의 이 갈등은 많은 경우 원인모를 멍한 느낌을 불러 일으킨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칭찬을 받았지만 기쁘지 않다거나, 생일에 상사와 가볍게 싸운 일 때문에 선물과 축하를 받아도 기분이 좋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뇌는 다른 감정보다 먼저 두려움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춘다. 반맹을 지닌 사람에게 두려움을 나타내는 사진을 온전한 시야에만 제시..
무의식적 두려움 우리는 오랜 세월에 걸쳐 대뇌피질이라고 불리는 바깥층의 뇌세포 연결을 발달시킴으로써 조상으로부터 진화해 왔다. 하지만 우리는 조상들의 뇌중 일부를 더 이상 진화하지 않은 채 보존하고 있다. 빨리 감지하고, 빨리 행동하고, 무의식을 구성하는 부분도 그중 하나다. 빨리 처리하는 조상들의 무의식적인 뇌는 위험한 상황을 재빨리 판단하여 생명체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했다. 편도체는 우리가 조상에게서 물려받은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구조들중 하나다. 편도체를 인간뇌의 경비견이라고도 한다. 편도체는 작고 민감하고 반응을 잘한다. 오늘날 뇌의 '두려움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편도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두려움과 관련하여 두가지 중요한 경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하나는 직접적..
두려움에 떨고 있는 뇌 나는 사람들의 삶을 훼방놓는 것이 사회적 불안이나 취업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내적 두려움뿐만 아니라, 급속하게 변화하는 세계에 대처하는 문제와 관련한 외적 두려움이기도 하다는 사실를 깨달았다. 여기저기서 일어나는 많은 재난으로 인한 두려움이 결코 남의 일이 아님을 절실히 깨달았다. 예를 들어 최근에 일어난 일본 지진과 지진해일이 일어나 지금 전세계 사람들이 핵재앙의 보이지 않는 위험을 두려워하고 있다. 뇌의 두려움 중추인 편도체가 두려움에 극도로 민감하다. 그래서 우리가 실제로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거나, 두려움을 의식적으로 자각하지 못할 때 조차도 보이지 않는 두려움이 우리의 감정 뿐 아니라, 사고에 까지 혼돈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어떻게 하면 뻔히 보이는 두려움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두려움에도 제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