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20분이라도 잠자리 들기 전에 정신집중 연습을 하자. 우리가 하는 일 자체에, 누구와의 대화, 경치 구경 등에 전념하는 것을 배우자. 지금 이순간에 하고 있는 활동이 유일하게 중요한 일이 되도록 몰두하자. 정신을 집중한다는 것은 전적으로 현재에 열심히 살고 있다는 것이다.
인내가 어떤 것인지 알려면 걸음마를 배우는 어린애를 지켜보기만 하면 된다. 넘어지고 또 넘어지고 또 넘어져도 어린애는 계속 시도 하며, 조금씩 고쳐 나가서 결국 어느 날인가는 쓰러지지 않고 걷는다. 만일 어른이 중요한 일을 추구하면서 어린애와 같은 인내와 정신집중에 도달한다면 무슨 일인들 성취하지 못하랴.
다른 사람에 대해 민감한 상황을 보고 싶다면 가장 현저한 예를 어머니의 어린애에 대한 민감성과 재빠른 반응에서 볼 수 있다. 어머니는 어린애의 약간의 신체적 변화와 욕구, 불안 등을 그것이 표현되기 이전에 알아 차린다. 어머니는 아무리 피곤해도 어린애가 울면 곧 잠이 깬다. 다른 요란한 소리는 어머니 잠을 깨우지 못하지만 이러한 모든 일은 어린애의 표현에 민감함을 보여 준다. 어머니는 불안하거나 근심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애가 보내는 의미 있는 커뮤니케이션은 무엇이든 받아들일 수 있는 빈틈 없는 균형 상태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민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리는 '피곤하다'는 느낌, 또는 '우울하다'는 느낌을 알고, 피로감에 젖거나 언제나 신변에 따르기 마련인 우울한 생각으로 우울감을 부채질 하는 대신 "무슨 일이 있었는가? 왜 난 늘 우울한가?"라고 묻는 것이다. 어떤 일을 합리화 하는 무수한 방법이 있더라도 결코 합리화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자기 자신이 내면의 소리는 '왜 내가 불안해 하고, 우울하고, 조바심 내는가'를 말해줄 것이다. 보통 사람은 자신의 신체적 상태에 민감하다. 그는 신체의 변화나 약간의 고통도 알아 차린다. 자신의 정신적 상태에 대한 동일한 민감성은 훨씬 힘들다. 대부분의 사람은 정상적인 정신적 활동에 대해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장 높이 평가 받는 사람은 뛰어난 정신적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사랑을 성취하는 중요한 조건은 자신의 자아도취를 극복하는 것이다. 자아도취의 반대는 객관성이다. 이것은 사람들과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능력이고, 객관적 대상을 자신의 욕망과 공포에 의해 형성된 상으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정신병이 있는 사람에게 유일한 현실은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현실 뿐이다.
"어떤 날 부터 어떤 날까지, 자기민족은 모든 면에서 선량하고 고상했으나, 다른 민족은 아주 비열하고 잔인했다"고 생각한다. 적의 모든 행동과 자기 자신의 모든 행동을 서로 다른 기준에서 판단하는 것이다. 적의 착한 행동도 흉악성의 조짐으로 느끼고, 우리와 세상을 속이려는 것으로 본다. 한편 우리들의 나쁜 행동은 고상한 목적으로 볼때 불가피한 것으로 간주한다. 객관적으로 사고하는 기능이 이성이다. 이성의 배후에 있는 감정적 태도는 겸손이다. 객관적이라는 것 곧 자신의 이성을 사용하는 것은, 우리가 겸손한 태도를 갖게 되었을 때이다.
사랑의 기술을 배우려고 한다면 나는 모든 상황에 있어 객관성을 위해 노력해야 하고, 내가 객관성을 잃고 있는 상황에 대해 민감해야 한다. 나는 자아도취적으로 왜곡된 어떤 사람과 그의 행동에 대해 나의 흥미, 욕구, 공포와는 관계 없이 존재하는 나의 현실과의 차이점을 파악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사랑의 능력은 자아도취로부터 벗어나는 능력에 달려 있다.
권력에는 '합리적인' 이라는 것이 없다. 권력에는 굴복 또는 권력을 갖고 있는 자의 입장에서는 권력을 유지하려는 소망만 있을 뿐이다. 많은 사람에게 권력이 모든 것 가운데 가장 현실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인간의 역사는 인간의 성취중에서 가장 불안정한 것이 권력임을 입증하고 있다. 곤란과 좌절과 슬픔을 우리에게서 일어나서는 안될 부당한 처벌이라기보다는 우리를 강하게 하기 위한 극복해야 할 도전으로 받아들이려면 용기가 필요하다.
사랑한다는 것이 모든 사람에 대해 사랑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라면, 사랑이 성격의 특성이라면, 사랑은 자신의 가족이나 친구에 대한 관계에 반드시 있을 뿐 아니라 일이나 직업을 통해 접촉하게 되는 사람과의 관계에도 있어야 한다.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의 실천3 (0) | 2009.06.17 |
---|---|
사랑의 실천1 (0) | 2009.06.17 |
현대 사회에서의 사랑의 붕괴2 (0) | 2009.06.17 |
현대 사회에서의 사랑의 붕괴1 (0) | 2009.06.17 |
사랑의 대상 (0) | 2009.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