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래된 미래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중심 이동

요즘의 교육은 어린이들을 자신의 문화와 자연을 분리시키는 한편,  서구화된 도시환경에 맞는 편협한 시각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옛날 시골에서 살아가던 아이들은 자연을 가까이하면서 관계와 과정, 변화에 대해서 배웠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계의 밀접한 유대관계에 대해서도 배웠다. 아이들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을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지각 능력을 갖게 되었다. 현대 학교에서 그런것은 가르쳐 주지 않는다. 아이들은 생태질서를 존중하는 사회보다는 기술이 중심이 되는 사회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훈련을 받는다. 오늘날 세계 곳곳에서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것은 동일한 전제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서구중심의 모델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그것들은 현실과 거리감이 있는 사실과 슷자 그리고 세계공용의 지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과서는 지구촌 전체에 적용되는 정보를 전파한다. 그러나 이것은 특정한 생태계와 특정한 문화권의 상황이 제거된 채 한 종류의 지식만이 전세계에 똑같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학생들이 배우게 되는 내용은 본질적으로 실제적 생활의 맥락에서 동떨어진 것일 수 있다.

 

고지대의 야크는 연료와 고기와 노동력을 제공하고 담요를 만드는 털까지 제공한다. 현대화 시각에서 바라보면 야크는 하루 젖을 3리터 정도 밖에 생산하지 못하므로, 30리터를 생산하는 저지 젖소에 비하면 비효율적인 가축으로 취급된다. 현대식 교육은 지역의 자원들을 무시하는 것 뿐만아니라, 청소년들에게 자기 자신과 자신들의 고유문화에 대한 열등감을 갖게 만든다. 그들은 자존심을 빼앗겨 버렸다. 학교의 모든 교육 내용은 서양의 것들이 우월한 것이라고 가르치고 있으며, 그 직접적인 결과 어린 학생들은 고유한 전통을 부끄러워하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은 사람들을 농촌에서 끌어내 도시로 데려간다. 그곳에서 사람들은 화폐경제에 종속되고 만다. 전통적인 라다크는 실업이라는 것이 없었다. 도시지역의 실업은 심각한 문제다. 

 

지난 수 세기동안 라다크의 레(지역이름)는 자연친화적인 경제체제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그로 인해 레는 오랜 기간 지속이 가능한 안정감 있는 생산구조를 유지할 수 있었다. 주민의 일부가 외부세계와의 교역으로 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제활동은 지역자원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졌다. 지금 레는 도시가 되었으며, 지난 16년 동안 레의 인구는 두배로 불었다. 교육과 취업을 위해 젊은 사람들이 도시로 떠나면서 농촌의 인구는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 좁은 지역에 많은 사람들이 북적되기 시작하면서 적지 않은 사회문제기 생겨났다. 좁고 북적되는 도시에서 사람들은 살을 맞대고 사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그들사이의 거리는 예전보다 훨씬 멀어져 있다. 서로 돕고 사는 분위기와 서로 북돋아주던 지역의 정치경제구조는 이제 붕괴되고만 것이다.  시골마을에서 살던 노르부가 고향을 떠나 온 것은 누군가의 강요도 아니었으며, 그렇다고 자신의 선택만도 아니었다. 노르부가 받은 교육은 도시지역에서 일하기 위해서이고, 모든 일자리가 도시에 있었다. 실제적으로나 정서적으로나 그는 더 이상 농부 되기가 적합한 사람이 아니었다. 

 

오늘날 중앙집중식 경제구조는 방대한 양의 에너지 사용에 의존한다. 또한 자원의 소비량 역시 대체적으로 높다. 새로운 도로의 연결망 건설에 대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더 먼 곳에서 생산된 상품에 대한 의존도는 더욱 커진다. 요즘 레의 모습을 보면 자급자족이 되는 것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식주와 관련된 모든 것들이 공해를 내품는 트럭의 행렬에 실려 외부에서 유입된다.

 

전통마을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쓰레기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 레에서는 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음식 찌꺼기에서 플라스틱, 유리, 종이, 그리고 원거리 수송에 필요한 포장제까지 온갖 종류의 쓰레기가 쌓여가고 있다. 또한 전통 경제체제에서 가치를 인정 받던 자원들은 점점 무용지물이 되었다. 예를 들어 인간의 배설물은 더 이상 땅을 기름지게 하는 비료로 쓰이지 않았으며, 그 처리 문제로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수세식 화정실의 사용으로 추가적으로 에너지 사용이 불가피해졌다. 귀한 물을 지붕까지 끌어올려야 하고 물이 오염되는 일도 많았으며, 이로인해 수인성 질병이 번져가고있다. 운동부족과 가다한 스트레스, 지방과 설탕 함량이 높은 가공 식품들을 즐겨먹음으로써 비만이나 이상체형으로 변했다.  병원 시설은 언제나 환자들로 북적되고 직원수도 모자라고 의약품도 불충분하다. 수입되어 판매되는 곡물은 정부의 지원금 혜택으로 싼가격으로 유통되는데, 펀자브 지역에서 수입된 밀가루는 인근마을에서 온 것에 비해 훨씬 싼 가격으로 팔리고 있다. 식료와 주거 문제와 함께 의복문제 역시 새로운 경제체제의 영향을 받고 있다. 모직으로 된 전통의복은 합성섬유로 된 옷들에 밀려나고, 수입모직제품까지 판매되고 있는 것이 요즘의 현실이다. 예전에는 구하는데 돈이 전혀 필요하지 않았던 손으로 짓는 의류는 요즘은 너무 비싼 옷이 되어 버렸다.

'오래된 미래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백 논리는 없다.  (0) 2011.04.13
분열된 공동체  (0) 2011.04.12
세상을 움직이는 돈의 힘  (0) 2011.04.08
외계에서 온 사람들  (0) 2011.04.07
삶의 기쁨  (0) 2011.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