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래된 미래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삶의 기쁨

그는 여행을 즐기고 있었고 눈에는 생기가 있었다. 그는 사람들이 자신을 놀린다는 상황을 알고 있었지만 그것은 그에게 문제가 전혀 되지 않았다. 그는 언제나 미소를 지었고 겸손한 자세로 일관했다. '화가 나지 않느냐?'고 물으면 왜 화를 내야 하느냐고 물었다. 처음 나는 라다크 사람들이 보이는 것처럼 그렇게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믿을 수 없었다. 그들의 미소가 진짜라는 것을 받아들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생활의 많은 부분을 불안함과 두려움으로 속에서 사는 우리들에게는 집착을 버린다는 것이 그리고 우리 자신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해 일체감을 느낀다는 것이 쉽지 않는 일이다. 그런데 라다크 사람들을 보면,그들은 정말 포괄적인 자아의식을 지니고 있는 것 같다. 그들은 우리처럼 두려움과 자기보호의 경계선 뒤로 움추려 들지 않았다. 실제 그들은 우리가 자부심이라 부르는 것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그것은 스스로에 대한 존중심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반대로 그들이 자기 존중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

 

라다크 사람들은 정서적으로 건강하고 안정감이 있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라다크 사람들은 자신이 자기보다 훨씬 더 거대하고 그 무언가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고 또 자신은 다른 사람들 그리고 주변 환경과 분리될 수 없는 연결속에 존재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상호의존적인 공동체의 일원이 된다. 어머니가 자녀들과 떨어져 혼자 지내는 일이 없다. 어머니는 언제나 자신이 자녀 그리고 손자, 손녀의 삶에 있어 한부분을 차지한다. 건강한 사회란 구성원 사이의 친밀한 연관관계와 서로 돕는 분위기를 더욱 북돋아주어야 하며, 개인에게 무조건적으로 정서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사회를 말한다.  이런 구조 속에서 개인은 자신이 정말 자유롭고, 독립적인 존재가 된다는 확신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역설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나는 라다크 사람들이 산업화된 사회에서 사는 우리 같은 사람들보다 정서적인 면에서 훨씬 덜 의존적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들에 있어 사랑과 우정은 격정적이거나 집착하는 모습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소유하는 형태가 아닌 것이다.

 

이쪽이든 저쪽이든 그게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들은 일상의 음식보다 잔치를 더 좋아하고 불편함보다 편안함을, 아픈 것보다는 건강한 것을 더 좋아한다. 그러나 결국 그들이 보여주는 기쁨의 모습과 마음의 평화는 적어도 외부환경에 의해 좌지우지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라다크 사람들은 사회구성원 사이의 유대관계 그리고 주변환경과의 관계를 통해 내면의 평화로움과 기쁨이 넘치는 삶의 태도를 가질 수 있었다. 만일 긴 여행을 떠나려는 순간 비가 쏟아진다 해도, 굳이 참담한 느낌을  가지지는 않는다. 당신이 그런 것을 좋아하지는 않겠지만, 라다크 사람들은 '그런 경우 불행하다고 생각할 이유가 없지요.' 라고 한다.

 

부족한 자원과 혹독한 기후 그리고 용이하지 않는 접근성으로 인해 라다크는 식민주의와 개발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었다.  물론 세월이 흐르고 세대가 거듭되는 동안 그 고유의 문화는 변화를 경험했다. 아시아의 주요 교역로에 위치한 라다크는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해 외부 노출되게 되었다. 예전에는 외래문화가 일으키는 변화의 속도가 내부 적응과정을 허용할 정도로 느린 것이었고, 그런 외부의 영향들은 자체 문화의 영역 안에서 서서히 통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외부로부터 거센 영향력이 눈사태처럼 쏟아지면서 라다크 사회는 급격히 붕괴되는 양상을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