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NVC의 네가지 요소 무엇을 관찰하고, 어떻게 느끼며, 무엇을 필요로 하고,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부탁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 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부탁에 귀 기울이기, 즉 공감으로 듣기이다. 공감이란 다른 사람이 경험하고 있는 것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장자는 진정한 공감이란 자신의 존재 전체로 듣는 것이라고 말했다. 듣는 것에는 귀로만 듣는 것이 있고, 마음으로 이해하며 듣는 것이 있다. 그러나 영혼을 들을 때는 몸이나 마음 같은 어느 한 기능에 국한 되지 않는다. 그래서 존재로 들을 때는 이런 모든 기능들이 비워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간관계에서 공감은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가진 선입견과 판단에서 벗어난 후에야 비로소 가능해 진다. 철학자 마르틴 부버는 삶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이러한 현존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한다. ‘서로 비슷한 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삶의 매 순간은 항상 새로 태어난 아기와 같이 이전에도 없었고, 절대로 다시 올 수도 없는 새로운 얼굴을 가진다. 그래서 삶은 당신에게 미리 준비할 수 없는 순간 순간의 반응을 요구한다. 과거의 그 어떤 것도 요구하지 않는다. 그것은 지금 이 순간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 바로 당신의 존재 그 자체를 요구한다’
우리는 공감하는 대신에 상대방을 안심시키고, 조언을 하고 싶은 강한 충동을 느끼거나, 우리의 견해나 느낌을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다. 공감은 상대방이 하는 말에 집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대방이 자신을 충분히 표현하고, 이해 받았다고 느낄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주는 것이다. 불교의 가르침에는 이러한 능력을 적절히 표현하는 말이 있다. ‘무언가를 하려고 하지말고 그곳에 그대로 있어라’ 공감이 필요한 사람에게 '이렇게 해봐'라고 해결책을 말해주는 것은 그 사람에게 좌절감을 안겨줄 수 있다. 조언을 하기 전에 먼저 상대방이 그것을 물어보지 않으면 조언하지 말라.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말들 중에서 다른 사람과 공감으로 연결하는데 방해가 되는 장애물들을 아래에 몇가지 적어보았다.
* 조언하기: 내 생각에 '너는 -해야 해, 왜- 하지 않았니?'
* 한술 더 뜨기: 그건 아무것도 아니야, 나한테는 더한 일이 있었는데..
* 가르치려 들기: 이건 너에게 좋은 경험이니까 여기서 배워
* 위로하기: 그건 네 잘못이 아니야, 너는 최선을 다했어
* 다른 이야기 꺼내기: 그 말을 들으니 생각나는데..
* 말을 끊기: 그만하고, 기운내
* 동정하기: 참 안됐다, 어쩌면 좋으니
* 심문하기: 언제부터 그랬어?
* 설명하기: 그게 어떻게 된거냐 하면....
* 바로잡기: 그건 네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거야
문제를 해결해 주고, 다른 사람의 기분을 더 좋게 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우리가 온전한 존재로 그 자리에 있은 것을 방해한다. 누가 ‘정말 우울해요, 더 살 까닭을 모르겠어요’라고 당신에게 말한다면 어떻게 반응하겠는가? 당신이 생각하는 대답을 읽고 자신이 우울한 입장에서 생각 해 보라. 머리로 이해하는 것은 공감하는데 필요한 존재로 있는 것을 방해한다. 상대 이야기를 들을 때, 그 사람의 이야기가 우리 머릿속에 있는 어느 이론과 어떻게 맞는지를 생각하고 있다면, 우리는 그 사람을 쳐다보고 있는 것이지, 그와 함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점이 공감을 머리로 하는 이해나 동정과 구별해 준다. NVC는 사람들이 어떤 말로 자신을 표현하든 그 사람의 관찰, 느낌, 욕구, 그리고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하는 부탁을 듣는 것이다. 다음 대화는 우리가 다른 사람의 느낌에 책임을 지면서 그들의 말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이는데 익숙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느낌과 욕구에 초점을 맞추기가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남편: 당신과 이야기 해봤자 무슨 소용이 있겠소? 당신은 내 말을 듣지 않는데
부인: 당신 나 때문에 불해해요?
마셜: 부인께서 나 때문이라고 말하면, 남편의 느낌은 부인 때문에 생겼다는 뜻이 되죠. ' 당신은 나 때문에 불행해요' 라고 말하기보다는 '당신은 -을 원하기 때문에 불만스러운요'라고 말하는 것이 좋갰네요.
부인: 그걸 어떻게 말로 하지요?
마셜; 남편이 한 말에 주의를 기울여보세요. 남편이 원하는데 얻지 못하는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보세요.
남편이 원하는 것보다 남편의 생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에 유의하세요. 다른 사람이 당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보다는 대신 그가 무엇을 원하고 있느냐에 관심을 기울인다면 사람들이 덜 위협적으로 보일 겁니다. 남편에게' -을 원하지만, 그것을 얻지 못해 불만을 느끼나요? '라고 말해보세요. 그렇게 남편의 욕구에 초점을 맞춰보세요.
'비폭력 대화 ( 마셜 B. 로젠버그, 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감의 힘 (0) | 2019.10.29 |
---|---|
공감으로 듣기(2) (0) | 2019.10.24 |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부탁하기(2) (0) | 2019.10.21 |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부탁하기(1) (0) | 2019.10.18 |
욕구를 의식함으로써 자신의 느낌에 대해 책임지기(2) (0) | 2019.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