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류 진화의 오디세이 (김용환)

호미니드의 계보

1924년 오스트리아 해부학교수 다트는 남아프리카 타웅의 석회석 광산에서 발굴된 어린 소년의 두개골을 얻게 되었다. 이것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라고 명명하고, 인류의 먼 조상이라고 생각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호미니드로 판명 되었다. 남아프리카에서 주로 발굴된 아프리카누스 화석은 연대가 3.0~2.5mB.P 경으로 나타났다. 키는 107~ 127cm정도인데 여성의 경우는 18~27kg의 몸무게를 보였다. 1970년대 에티오피아를 탐사하던 조한슨은 이와시 강유역의 하다르라는 지역에서 전신골격이 상당 부분 보존되어 '루시'라 불리는 화석을 발견하고,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라고 명명했다. 루시는 1.0-1.2m키의 여성으로 19-21세 정도였다. 아파렌시스가 발굴된 지층의 연대가 대체로 3.00-3.75mB.P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직립보행의 구조가 두개골이 커지기 훨씬 이전에 진화했음을 의미한다.

 

플라이오세 말기에 이르러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는 별도의 속에 넣을만한 화석들이 발견되었고, 이것들을 호모속으로 분류되었다. 올두바이 협곡은 아프리카 지구대의 일부로 동아프리카 세렝게티 평원에 위치해 있다. 1959년 루이스 리키는 올두바이 협곡의1.75mB.P 지층에서 진잔트로푸스 보이세이를  발견했다. 이 화석은 두개골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 비해 훨씬 큰 약 700cc정도의 용량을 지닌 것으로 추정되었 다. 리키는 이 화석을 호모속에 넣고 손재주가 있다는 의미로 호모하빌리스라고 명명했다. 플라이오세 말기 지층에서 호미니드 유적들이 동아프리카 올두바이 협곡과 쿠지포라에서 발견 되었는데 그 연대는 1.5~2.0mB.P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유적들은 주로 초식동물의 뼈와 석기 및 돌조각들로 구성 되었는데, 아마도 호모 하빌리스 것으로 판단되었다. 석기로 판명된 유물은 호미니드 최초의 것이며, 쉽게 만들어질 수 있는 올도완 양식의 석기로 명명 되었다. 유적을 최초로 발견한 루이스 리키는 수렵채집자가 살았던 삶의 터전 혹은 주거지라고 해석했다. 삶의 터전이란 그 유적을 남긴 주인공들이 그곳에서 석기를 제작하고, 사냥한 동물을 가지고 와서 나누어 먹었으며 잠도 잤을 것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호미니드의 최초 유적지에서 발견된 초식동물의 뼈가 그들이 사냥한 것인지 , 육식동물이 남긴 찌꺼기를 나중에 취한 것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육식은 인류의 진황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육류는 풍부한 단백질과 높은 칼로리를 제공하며 저항력과 생식력을 제고한다. 이는 다시 생존과 함께 인구의 증가를 촉진할 수 있다. 다음 지질시대인 홍적세(혹은 플라이스토세)에는 호미니드의 진화가 대체로 호모에렉투스 (직립원인)단일한 계보로 단순화 한다. 플라이오세의 호미니드 개관은 다음과 같다. 아파렌시스 4-2.5m B.P, 아프리카누수 3.0-2.5m B.P, 보이세이 m B.P, 로부스투스 2mB.P, 하빌리스 2m B.p이다. 사실상 화석종들간의 진화계보를 수립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대체로 아파렌시스가 플라이오세 호미니드의 공통 조상일 것이라는 생각이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져 왔다. 어쨌든 아프리카누스가 호모하빌리스및 에렉투스로 진화했다는 종전의 학설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