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나 한잔 들고가게!

여민동락(與民同樂)

 

첨단기술 발달, 경쟁 심화, 환경의 급격한 변화,생산성향상, 이윤 극대화 등으로 인해 인간의

노동력으로 수행하던 수 많은 일들이 기계와 컴퓨터로 대체됨으로써 명퇴, 고용된 인력의

대부분은 임시직, 계약직, 단순직에서 일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경영자, 주주, 소수의 엘리트 등은 극대화된 이윤, 생산성 향상으로 인한

혜택을 받게 되었지만, 대부분은 저임금, 단순업무를 기계와 컴퓨터의 통제하에 힘들게 일하고 있다.

 

기계와 컴퓨터가 시키는 일만 하면 되는, 전문성이 전혀 필요없는, 내가 통제할 것이 없는 단순한

업무수행으로 지능는 점점 퇴화되고, 일에 대한 성취감도, 자신의 존재감도, 전혀 없이 사회에

대한 소외감으로 우울한 삶을 살아가게 되고,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 알콜중독, 현체제에 대한

불만 등으로 사회적 문제들은 점점 증가해 갈 것이다.

 

사회적 기반이 되는 절대 다수의 중산층 이하의 서민들이 그러한 삶을 살아갈 수 밖에 없다면,

어찌 사회가 안정될 수 있을 것이며, 어떤 상류층의 삶인들 유지될 수 있을 것인가?

 

...............

臣請爲王言樂(신청위왕언락) : 제가 왕께 음악에 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今王 鼓樂於此 百姓 聞王鐘鼓之聲 管籥之音 擧病首蹙頞而相告曰 ‘吾王之好鼓樂 夫何使我至於

此極也 父子不相見 兄弟妻子離散‘ (금왕 고락어차 백성 문왕종고지성 관약지음 거병수축알이

상고왈  ’오왕지호고락 부하사아지어차극야 부자불상견 형제처자리산‘)

 

이제 왕께서 이곳에서 음악을 연주하시는데 백성들이 왕의 종과 북 울리는 소리와 생황과 퉁소

부는 소리를 듣고서 다들 골치를 앓고, 콧날을 찌푸리면서 서로를 이렇게 말한다고 합시다.

“우리 왕은 음악 연주를 좋아하면서 대체 어째서 우리를 이 지경에까지 이르게 하는 건가,

부자 간에 서로 만나지 못하고 형제와 처자는 헤어져 흩어져 버린다”고.

 

今王 田獵於此 百姓 聞王車馬之音 見羽旄之美 擧病首蹙頞 相告曰 ‘吾王之好田獵 夫何使我至於

此極也 父子不相見 兄弟妻子離散’ ( 금왕 전렵어차 백성 문왕차마지음 견우모지미 거병수축알

상고왈  ‘오왕지호전렵 부하사아지어차극야 부자불상견 형제처자리산’)

 

이제 왕께서 이곳에서 사냥을 하시는데, 백성들은 왕의 마차소리를 듣고 깃발의 깃털 장식의

아름다움을 보고는, 다를 골치를 앓고 콧날을 찌푸리면서 서로들 이렇게 말한다고 합시다.

“우리 왕께서는 사냥을 좋아하면서 대체 어째서 우리를 이 지경에까지 이르게 하는 것인가

부자 간에 서로 만나지 못하고, 형제와 처자는 헤어져 흩어져버리다니”

 

此無他 不如民同樂也 今王 鼓樂於此 百姓 聞王鍾鼓之聲 管籥之音 擧欣欣然有喜色而相告曰

‘吾王 庶幾無疾病與 何以能鼓樂也’(차 무타 불여민동락야 금왕 고락어차 백성 문왕종고지성

관약지음 거흔흔연유희색이상고왈  ‘오왕 서기무질병여 하이능고락야’)

 

이렇게 되는 것은 별다른 이유는 없고 백성들과 함께 즐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금 왕께서

이곳에서 음악을 연주하시면 백성들이 그 종소리와 북소리 생황과 퉁소 소리를 듣고, 모두가

즐거운 표정으로 기꺼이 희색을 나타내고 서로 이렇게 말한다고 합시다. ‘우리 왕께서 아마

질병이 없으신가보다 그렇지 않으면, 어떻게 하여 음악을 연주할 수 있을까’하였다

 

今王 田獵於此 百姓 聞王車馬之音 見羽旄之美 擧欣欣然有喜色而相告曰 ‘吾王 庶幾無疾病與

何以能田獵也’(금왕 전렵어차 백성 문왕차마지음 견우모지미 거흔흔연유희색이상고왈

 ‘오왕 서기무질병여 하이능전렵야’)

 

지금 왕께서 이곳에서 사냥을 하시는데 백성들이 왕의 수레와 말 달리는 소리를 듣고, 깃발의

깃털 장식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모두 즐거운 표정으로 서로 말하기를 '우리 임금께서 요즘

무사하신 모양이군요. 어쩌면 저렇게 사냥에 능하실까,' 하시면,

 

此 無他 與民同樂也 今王 與百姓同樂 則王矣 (차 무타 여민동락야 금왕 여백성동락 칙왕의)

 

이는 다른 것이 아닙니다. 백성들과 즐거움을 같이 나누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왕께서 백성들과 즐거움을 함께 하신다면, 왕노릇을 하실 수 있습니다.

『맹자(孟子)』양혜왕장구하(梁惠王章句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