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나 한잔 들고가게!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공부밖에 없다.

 

어느날 갑자기 나는 세상 어디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 같은, 알몸으로

이 세상에 홀로 나와 있는 나를 보았다. 세상 모든 것은 불명확하고, 나는

아무것도 제대로 아는 것도 없고, 어디로 가야 할지를 몰라 두려웠다. 그때

그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책을 읽었다. 15년이 흘렀다. 나는 아직도

어둠 속에서 헤매고 있다.

 

그러나 한가지 나름대로의 깨달음은 이 어둠속에서 벗어나는 길은 '공부'

이라는 사실이다.  그러한 께달음으로 평상심을 얻고, 위로를 얻고, 즐거움을

느낀다. 내가 공부하는 목적은 공자가 이야기 하는 '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하는 것'이다. 지금 아는 것도 나중에는 모르는 것이

될 수도 있다. 지식은 변한다. 내가 아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래서 지금 나는

안다고 생각하지만ㅠ나중에는 모르는 것이 된다.

 

무엇을 안다는 것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많다. 그냥 스치듯 들어본 것만으로도

안다고 할 수 있고, 체험적으로 깨달아서 알 수도 있고,  개념이라도 어렴풋이

아는 것을 안다고 할 수도 있다. 어떤 사물에 대해 그 본질을 공부하고, 생각하고

생각하여, 다른 것들과 연결된 것들을 함께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은  어느 한쪽

단면만을 아는 것과는 천지차이다.

 

어떤 대상에 대해 한 단면만 알게 되면, 조각조각 알게되어 전체를 볼 수 없어,

세상은 더욱 복잡하고 혼란스럽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불함을 만든다. 세상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해 나름대로의 이해가 있어야, 비로소 세상을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다.

 

세상 전반에 대한 이해를 갖게 되면, 불안함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인 요구에 의한 삶, 현실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 속에 휘말리게

되면, 단편적인 것 밖에 볼 수 없다. 세상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쌓여 세상에

대한 나름대로의 이해를 갖게 되면, 생각이 깊어지고 세상을 보는 시각이

달라질 것이다.

 

내 주변의 사람들, 예전에 내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한둘씩 떠나는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공부 밖에 없다.

 

由 誨女知之乎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유 회녀지지호 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

자로야 너에게 안다는 것을 깨우쳐주마.

아는 것은 안다고 하고, 모르면 모른다고 함이 바로 안다는 것이다.

( 논어論語 위정爲政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