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대니얼 길버트)

뇌와 눈의 계약

인간 진화의 오랜 시기를 거치는 동안 뇌와 눈은 일종의 계약관계를 발달시켜 왔다. 그래서 뇌는 눈이 보는 것을 믿고 눈이 부인하는 것은 믿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가 무언가 믿으려면 그것은 사실의 뒷받침이 되어야 하고, 적어도 사실과 지나치게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 우리는 사실을 조작한다. 사실을 수집하고, 해석하고 분석하는 데는 한가지가 아니라 다양한 기법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런 서로 다른 기법들은 서로 다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엉터리 과학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결론을 정해놓고 그 결론을 도출해 줄 것 같은 기법을 선택한다. 그런데 수십 년간 이루어진 심리학 연구를 종합해 보면, 우리는 자신의 모습과 경험에 관련된 사실을 모으고 분석할 때 엉터리 과학자들이 취하는 것과 똑 같은 태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우리에게 유리한 사실들만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행위들은 단지 잡지 광고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우리기억에서 정보를 끄집어 낼 때도 그렇다.

 

우리 결정이 얼마나 현명한지, 우리 능력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우리의 활기찬 성격이 얼마나 매력적인지를 알 수 있는

가장 풍부한 정보는 우리의 기억이나 잡지가 아니라 타인에게서 나온다. 따라서 우리가 원하는 결론을 지지해줄 정보에만 자신을 노출시키려는 경향은 우리가 곁에 둘 사람들을 선택할 때 특히 강하게 나타날 수 밖에 없다. 그 누구도 친구나 연인을 닥치는 대로 고르지는 않는다. 어디까지나 나를 좋아해줄 사람, 나와 비슷한 사람들과 어울리기 위해 어마어마한 시간과 돈을 투자한다. 물론 우라는 주위를 둘러본다. 그러나 우리는 보고 싶어 하는 것들만 보기 위해 선택적으로 주위를 둘러 볼 뿐이다.

 

많은 사람들은 친구가 자신보다 뒤처지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친구가 실패하도록 친절하게 도와주기까지 한다. 일단 우리가 그들의 수행을 성공적으로 방해하고 그들이 실패했다는 것이 확실해지면, 그들은 우리의 완전한 비교 대상이 된다. 결론을 내리자면 이렇다. 우리의 뇌는 눈이 보는 것을 믿기로 하고 일종의 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그 반대급부로 눈은 뇌가 원하는 것을 찾아주겠다고 약속한 것이다. 우리에게 유리한 정보만 선택하거나 그런 정보를 줄 사람들을 선택함으로써 우리는 우리에 대해 긍정적이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견해를 얻는다.

 

축구경기나 정치토론을 당신과 견해가 다른 사람과 함께 해본 적이 있다면 자신의 견해에 상반되는 사실이 제시될 때 사람들이 얼마나 쉽게 그것을 외면해 버리고, 심지어 자신의 관점에서 달리 해석해 버리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운동경기에서 두 팀 모두 상대방이 비신사적이었다고 주장한다. 또 정당 토론에서 보면 자기당이 더 잘했다고 평가한다. 이스라엘과 아랍사람들은 중동관련 뉴스를 보고 그 뉴스가 상대방에게 편향적인 뉴스라고 이야기 한다. 이 모든 예가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은 사람들은 자신이 보고 싶어 하는 것만을 보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우리 당의 후보가 방송에서 공금횡령을 자백한 경우 그런 것은 무시하거나 잊기 쉽지 않다. 이렇듯 자신에게 불리한 사실이 분명한 경우 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원하는 결론을 유지할 수 있을까? 사실이라는 단어는 의심의 여지가 없고 반박의 근거가 없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사실이란 정해 놓은 어떤 기준에 부합하는 증거가 있는 추측에 지나지 않는다. 만일 그 기준을 충분히 높게 잡으면 그 어떤 것도 증명 할 수 없다. 반면에 증거 기준을 충분히 낮게 잡으면 모든 것이 사실로 인정될 것이다. 그 기준을 어디에 세워야 할지는 누구도 정확히 말 할 수 없다. 기준을 어디에다 세우든 중요한 점은 우리가 좋아한다는 사실과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평가할 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중잣대를 적용한다. 우리가 원하는 결과에 부합하는 사실과 그렇지 않은 사실을 판단할 때 우리는 불공정한 잣대를 들이댄다. 이런 이중 잣대 행위를 통해 우리는 자신과 자신의 경험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원하는 결론과 반대되는 사실을 접할 때 우리는 그 사실을 더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더욱 꼼꼼히 분석한다. 그리고 보통 우리의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증거를 요구한다. 결국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결론을 내리게 해주는 정보에 대해서 관대하지만, 우리가 원하지 않는 결론을 내리게 해주는 정보에 대해서는 훨씬 엄격한 증거를 요구하는 것이다. 우리의 현실왜곡은 우리의 경험이 본질적으로 모호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 지각이 터무니 없지않다는 것을 믿기 위해 뇌는 눈이 보는 것을 수용한다. 동시에 우리의 현실지각을 긍정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눈은 뇌가 보고 싶어하는 것을 찾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