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생의 재발견 (하르트무트 라데볼트

노년의 모습

역사상 내려오는 관습에 따르면 나이든 사람들은 후손을 양육하고, 경험적 지식을 후세에 전하는 과제를 담당했다. 노년에 강조하는 또 하나의 과제는 자기 성찰을 위해 지금까지 가족과 사회에서 수행했던 과제와 의무에서 물러나는 것이다. 노년에 주어진 삶의 의미는 인생의 마지막 즉, 죽음을 준비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오늘 날에도 마찬가지로 많은 젊은이들이 나이든 사람들이 현장에서 물러나 자리를 만들어 줄 것을 기대한다. 옛날 나이든 사람들의 주요 덕목은 삶의 경험을 통해 쌓은 지혜를 전수하는 일이었다. 노인들은 인생의 의미와 목적 및 근원 또는 종국적인 것들을 포괄하는 지식과 인생경험을 토대로 바람직한 삶의 태도가 무엇인지 손수 모범을 보여주기를 요청 받았다. 그러나 이런 영향력을 발휘할 만한 수준까지 성숙을 이루는 노인은 아주 적다.

 

우리가 맨처음 경험하는 노인은 보통 가까이 있는 가족이나 친척이다. 부모, 조부모, 친척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이 얼마만큼 우리가 생각하는 노년상을 결정짓고 있는지 잘의식하지 못했다. 1차 세계 대전은 독일에서만 190만명의 전사자를 냈다. 그 외 250만명의 군인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피해를 입었다. 2차 세계대전때는 폭격, 피난 및 전후 부족한 의료서비스로 인해 여성과 아동, 특히 노인들의 피해가 컸다. 그래서 오늘날 60-70대 이상의 인구는 조부모를 경험할 기회가 적었다. 그들은 기껏해야 혼자된 할머니를 경험했으며, 할머니의 친구들 역시 과부가 되어 혼자사는 사람이 많았다. 폭격, 피난, 추방, 빈곤의 경험은 종종 살아남은 가족들을 단단히 뭉치게 하고, 생존한 노인을 모시고 부양하는게 자연스러웠다.

 

할아버지와 할머니, 또래의 친구들은 혼자서도 꿋꿋이 나이듦에 대처하는 독립적이고, 억척스러우며 젊은 사람들과 주변세계에 관심이 많은 여성상을 우리에게 남겼다. 암묵적인 메시지는 노년 여성들은 홀로 되어도 충분히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것, 그러나 노년 남성들의 상황은 힘들고 불만족스럽고 그리 모범적이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는 조부모를 통해 죽음을 처음 경험했다. 따라서 한 사람을 잃는다는 것, 그에 앞서 질병과 죽음에 얽힌 상황, 장례식과 가족들의 만남... 이런 첫 경험은 죽음에 대해 우리가 가지게 되는 이미지를 결정했다. 현재 노년시대는 자녀로서 부모세대의 발전과정을 계속 함께 했고, 각 삶의 단계에서 그들의 모습을 관찰했다. 1차세계대전과 그 후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변화는 조부모 세대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2차 세계대전은 부모세댸에 너무나 많은 영향을 주었다.

 

노년의 모습들

* 부모세대가 친구들과 어울리는 모습

* 사위와 며느리를 가족으로 받아들이는 모습

* 중년에서 노년까지 인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해온 모습

* 필요한 삶의 구조를 만들고 그것에 맞추어온 모습

* 일생동안 배우자, 친구, 형제와 관계를 만들어온 모습

* 부모, 시부모, 자녀, 손주와 관계를 맺고 변화시켜온 모습

* 위기를 느끼는 변화를 견뎌온 모습

* 자신의 관심사를 추구하고 능력을 개발해온 모습

* 세월이 흐르면서 관심사와 능력이 변화되는 모습

* 자원봉사 같이 사회적인 과제를 담당하는 모습

* 인생의 긴과정을 거쳐 주어진 가능성을 찾고 이용하는 모습

*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변화에 반응하고 적응하는 모습

* 그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모습

 

가난하고, 배고프고, 집과 고향을 잃은 상태에서 먹고 살아가며, 생존한 조부모를 부양해야 하는 첵임은 오랜 세월, 이 세대 구성원들을 혹사시켰다. 특히 스스로의 힘으로 삶을 책임져야 하는 전쟁 과부들은 자신의 필요와 욕구를 뒷전으로 미룰 수 밖에 없었다. 우리는 부모 세대에 속한 가족과 친척들의 노화 모습을 지켜보았다. 그들에게서  노화에 대한 여러가지 인상을 받았다. 이런 모습이 우리 삶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의식하고 있는가?

 

* 그들은 어떤 가정,사회적, 정치적 조건 아래서 성장했는가?

* 그들은 어떤 교육을 받고, 연장자를 어떻게 대했는가?

* 우리에게 어떻게 경험을 전수해 주었는가?

* 그들은 60세이상의 노인과 지낸 기회가 있었는가?

* 그들은 생계를 위해 얼마나 고생했고 성장했는가?

* 그들은 자녀애개 어떤 기대를 하는가?

* 그들은 노화하면서 어떤 신체적 정신적 질병과 후유증에 시달렸는가?

* 그들은 어떻게 신체를 관리했는가?

* 노화하는 동안 그들의 태도는 어떻게 변했는가?

 

노화에 대한 인상은 개인마다 다르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가 받은 인상을 일반화 했고, 당연하게 생각했으며 배경을 거의 묻지도 않았다. 우리가 받은 인상이 기억속에서 생생하지 않다해도, 그것은 노화에 대한 우리의 생각에 결정적인 영향을 행사한다. 노년에 대한 우리의 이미지는 무의식중에 계속해서 형성된다. 특히 텔레비전, 신문, 잡지 광고, 영화, 소설 등이 그 이미지를 결정한다. 노인은 거동이 불편하고 발기 부전에 집중력에 장애가 있으며, 거동이 불편하고, 다양한 약을 복용한다는 이미지다. 소설에서 늙어가는 것이란 낙담하고 병들고, 생의 마지막까지 아주 궁색하게 연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남자들은 일생동안 성적충동, 성적욕구에 얼룩진 삶을 살며, 늙어가면서 이 부분에 좌절을 겪고 불행해지고 불만족스럽게 산다.  성적으로 새로운 관계를 가지기 위해 기존의 굴레를 박차고 나가면, 형편이 아주 안좋아지거나 죽게 된다. 노년의 사랑과 성이란 주제는 현대에도 계속 어렵고 갈등을 빚고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