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떻게 살 것인가? (유시민)

(20)
남자의 마흔살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의 삶을 자기방식대로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는 것이다. 어른이 되면 무슨 일을 하면서 살까? 인생은 의전의 연속이다. 누구나 의전을 받고 의전을 베푼다. 백일과 돌잔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입학식과 졸업식도 기본의전이다. 학교동창, 고향친구, 직장동료들끼리 서로의 결혼식 하객이 된다. 의전을 게을리하면 사회생활을 제대로 할 수 없다. 더 시간이 흐르면 선배들이 세상을 떠나기 시작하고 그 다음은 동년배 친구의 사망 소식이 들릴 것이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라는 광고 카피가 유행한 적이 있다. 죽음은 피할 수도 즐길 수도 없다. 오래 산 사람에게도 죽음은 겁이 나는 일이다. 인생을 스스로 설계하고 옳다고 믿는 방식으로 살아가려면 훌륭한 삶, 품격있는 인생이 어떤 것..
놀고 일하고 사랑하고 연대하라 나는 심오한 인생론을 펼친 위대한 고전보다 쉽게 읽히고 재미있고 감동을 주는 책이 좋다. 열등감은 삶의 기쁨을 갉아먹는 부정적인 감정 중에서도 단연 고약한 것이다. 열등감에 깊이 빠지면 자기 자신을 비천한 존재로 느끼게 된다. 크러잉넛 멤버들은 자기네가 좋아하는 펑크록을 평생 올라야 할 나무로 선택했다. 다른 사람에게 열등감을 느낄 이유가 없다. 각자 자기의 나무를 골라 오르면 된다. 사형집행 일과 집행방법만 정해져 있지 않을 뿐, 살아있는 인간은 모두 사형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 잘 사는 것 뿐만 아니라 잘 죽는 문제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잘 죽으려면 잘 살아야 하겠기에 실존주의는 공부할 만한 가치가 있다. 삶은 곧 죽음이다. 시간이 희소성을 잃으면 삶도 의미를 상실한다. 삶이 영원히 계속된다..
내 인생은 나의 것 청년기의 핵심 과제는평생하고 싶은 일을 찾고 그 일을 잘 할 수 있는 준비를 하는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대학시절 정치학 강의에는 한국정치가 없었고, 경제학 강의에는 한국 경제가 없었다.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빼앗긴 대학 강의실에는 비판적 지성이 자라기에 적합한 곳이 아니었다. 강의를 듣느니 혼자 책을 읽는 것이 차라리 나았다. 그때 내 문제는 꼭 하고 싶은 일이 없다는 것이었다. 어른들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아무도 묻지 않았다. 나는 판검사가 되겠다는 모범답안 말하곤 했다. 나는 공부가 좋았다. 중학생 때는 축구와 핸드볼 추리소설에 빠졌다. 국어와 고문을 베우면서 공부가 재미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육사 선생과 만해선생의 시를 낭송하는 것도 재미있었다. 작문시험에 대비하..
마음가는 대로 살자 독서에 몰입하는 내가 자랑스럽다. 그때 가슴에서 따뜻한 기온이 올라와 온 몸으로 번져간다. '이게 나야' 그런데 이런 행복이 얼마만인가? 내 인생을 관통한 목표와 원칙이 있었는지, 있었다면 무엇인가? 내 삶을 지배한 감정과 욕망은 어떤 것이었는지 과연 나는 내게 맞게 살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자신에게 의미가 있을 것 같다. '나는 무엇인가? 어떤 사람인가?' 나는 비행기 안에서 책을 읽는 것 만으로도 행복을 느끼는 사람이다. 내 직업은 지식 소매상이다. 유용한 지식과 정보를 찾아 요약하고 발췌하고 해석하고 가공해서 독자들이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이야기로 만드는 것이 지식 소매상이 하는 일이다. 내 자신의 인생 경험과 가족사, 살면서 느꼈던 개인적인 고민과 감정을 직접 드러내는 글은 많이 써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