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는 어떻게 괴물이 되어 가고 있

(19)
정체성3 우리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 혹은 부정적 평가가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 자기증오나 자기애, 높은 자존감이나 낮은 자존감 등이 찾아올 수도 있다. 다른 사람이 우리를 바라보고 우리의 행동을 해석하는 방식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내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타인이 결정한다. 자신감, 자존감 같은 특성의 발전을 되짚어 보면, 원래 그것이 타인의 신뢰, 타인의 존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남들이 나에게 화가 나있다고, 나한테서는 건질게 하나도 없다고 확신한 나머지, 있지도 않은 위험으로부터 미리 도망칠 것이다. 사회공포증이다. 인간관계에서 우리는 이성이나 권위자 같은 특정인에게 더 큰 의미를 부여한다.이성은 자신의 성 정체성의 내용을 정의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반대의 성性이다...
정체성2 자율은 특히 오늘날 모든 사람이 자신에게서 확인하려는 아니, 반드시 확인해야만 하는 특징이다. 종속은 유약함을 의미한다. 오늘날 우리는 자기 자리를 주장해야 하고 자기 목소리를 높여야 하며, 자기 뜻을 관철해야 한다. 인간의 뇌가 호모사피엔스의 본질을 구성한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우리 뇌의 가장 중요한 특징중 하나가 신경의 가소성이다. 즉 우리에겐 특정 요인의 영향을 받으면 변할 수 있는능력이 있다. 뇌연구에 따르면 태어나는 순간 인간의 뇌는 아직 신경학적인 관점에서 완벽하지 않다.따라서 차후 전반적인 발달과정을 거쳐야만 하며, 이 과정에서 주변환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거울뉴런이 없다면 정체성도 없다. 하지만 무엇이 거울에 비칠 것인가는 환경이 결정한다. 우리의 정체성 형성을 위해 ..
정체성1 근로자의 10-15%가 왕따를 당한다고 한다. 왕따는 다른 많은 사회문제들이 그렇듯, 우리 사회에서 규범과 가치가 실종된 결과라고 한다. 범죄자들은 정상인이 아닌 장애인이다. 병이 아니라면, 어떻게 엄마가 자식을학대할 수 있겠는가? 이런 생각을 하면 우리는 마음이 편해진다. 인간의 본성, 우리 안에 숨은 짐승에게서 원인을 찾는 것이다. 어쨌든 악惡은 인간에게 낯설지 않다. 이런 사실을 가장 인상 깊게 전달한 문장은 한나 아렌트의 펜끝에서 나왔다. 나치 친위대 고위장교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을 지켜보고 ‘악의 평범함’이라는 말로 자신의 심경을 요약했다. 인간이 내면에 악이 숨어있다는 관념은 기독교의 원죄설과도 연결된다. 정체성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가 어떤 존재가 될지는 대부분 환경에 달려있다. 따..